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남북조시대 불교조각을 통해 본 고구려 延嘉 7년명 금동여래입상 (Gilt-bronze Standing Buddha Image with Inscription of 'the Seventh Yeonga Year' of Goguryeo and Chinese Buddhist Sculptures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7.03
33P 미리보기
중국 남북조시대 불교조각을 통해 본 고구려 延嘉 7년명 금동여래입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51호 / 55 ~ 87페이지
    · 저자명 : 최성은

    초록

    본고에서는 1963년 연가 7년명 금동여래입상이 발견된 이래 지난 반세기 동안 다각적으로 논의되었던 편년, 명문해석, 양식적 특징 등에 관한 연구성과를 재검토하고 새로운 자료들을 이용하여 연가명 불상과 관련된 기존논의의 모호한 점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에서 새롭게 출토된 남북조시대 불상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지금까지 제기되었던 여러 편년 가운데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479년설과 539년설 편년의 개연성을 검토하였다. 연가명 불상에는 중국 南朝 불상과 여기에서 영향을 받은 북위 불교조각의 여러 요소가 다양하게 혼재되어 ‘고구려 불상’ 특유의 양식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는데 相好, 착의형식, 수인, 옷주름 표현 등, 각각의 요소를 개별적으로 살펴본 결과, 불상의 조성시기는 520년 이전으로는 올라갈 수 없는 것으로 사료되어 명문에 새겨진 ‘延嘉 7년 己未’는 539년으로 편년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해는 安原王 10년으로 그가 재위 3년(533)이 되는 해에 자신의 아들 平成을 태자로 세우고 이를 국가적으로 기념하기 위해 ‘延嘉’를 연호로 제정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가명 불상과 관련된 여러 문제 가운데 연가명 불상의 출토지가 절터가 아닌 점, 舟形擧身光背가 앞으로 휘어져있고 수평으로 파손된 점, 석판아래 조성된 석실에서 발견된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이 상은 광배가 파손된 뒤에 폐기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광배가 펴진 상태라면 고구려척(35.5)으로 반 척 정도가 되는 불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樂良東寺의 천불조성 불사에 일정하게 정해진 반 척 크기의 불상이 주조되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천불이 조성되었던 낙양동사의 위치에 대해서는 대동강 상류의 청암리사지와 상오리사지를 꼽을 수 있는데, 평양성이었던 청암리토성의 동쪽에 위치했던 청암리사지는 ‘금강사지’로 알려져 있으므로 ‘동사’가 ‘금강사’의 별칭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여기서 동남쪽으로 2km 떨어진 상오리사지에서 ‘동’자명 印刻瓦가 출토된 점에서 이 사지가 東寺일 가능성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연가명 불상의 존명인 ‘인현의불’은 『현겁경』에서 언급된 현겁천불 가운데 제 29번째 불상이라는 것이 이미 논의된 바 있는데, 이 경전은 오호십육시대부터 널리 유행하였고 관불수행과 천불조성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고 알려져 있어 낙양동사에서 천불 조성불사를 주도했던 승연과 그의 사도 40인은 『현겁경』을 소의경전으로 관불수행과 육바라밀을 통한 실천적 대승불교 신앙을 지향했던 불교도들이었던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image with the inscription, ’the seventh year of Yeonga(延嘉)’, by examining academic achievements established for half a century since the statue was first found in 1963, analyzing its inscription and comparing the style and iconography of this image with those of newly discovered Chinese Buddhist images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Buddha image contains various stylistic features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from the late fifth century to the early sixth century that seem to have formed the Goguryeo style, and is inspected to have most likely been made after 520 CE. As ‘the seventh year of Yoenga ‘gimi(己未)’ year’ corresponds to 539, it is assumed that King Anwon(安原王, r.531-545) in 533 CE established the name ‘Yoenga’ to commemorate the crowning of his son, prince Pyeongseong(平成).
    When the Buddha image was unearthed from under a rectangular stone panel at a mountainside in Uiryeong, South Gyeongsang Province, its halo was bent forward and broken horizontally, which indicates that this image had been discarded as damaged or broken images could not be used for worship. Before any damages to the halo, the full size of the image would have been about 17.7cm, about one half of Goguryeo cheok(尺, 35.5cm). It can be presumed that all the thousand Buddha images were cast in a size identical to this Buddha image, at one half Goguryeo cheok, which was easy to measure by sculptors.
    The inscription is on the backside of the halo, indicating that this image was ‘Inhyeonuibul’ (Inhyeonui Buddha, 因現義佛), the 29th of the thousand Buddha images distributed by 40 members of Buddhists at ‘Dongsa’(The East Temple, 東寺) in Nakyang(樂良, Pyongyang), the capital of Goguryeo. The name of Buddha, ‘Inheonyibul’ appears only in Hyeongeopgyeong [賢劫經, Bhadrakalpika Sutra], one of the early Mahayana sutras translated in Chinese by Dharmarakṣa in 300CE. This sutra became very popular in China from the fourth century and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meditation practice and execution of the thousand Buddha images on the wall of cave temples in China. It is therefore fair to assume that this sutra also contributed considerable impact on religious practice and worship of one thousand Buddhas by the Buddhists in Goguryeo in the six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