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연구로서의 ‘아세안 연구’: 학술적 함의와 현실적 필요성 (ASEAN Studies as an Area Studies: Academic Implications and Realistic Need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1.02
43P 미리보기
지역연구로서의 ‘아세안 연구’: 학술적 함의와 현실적 필요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연구 / 40권 / 1호 / 33 ~ 75페이지
    · 저자명 : 김동엽

    초록

    “한국인은 동남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서 동남아 사람들이 한국을 좋아하고 신뢰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그리고 동남아 사람들은 한국을 별로 신뢰하지 않으면서 대중적인 인기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동상이몽 같은 상황은 한국인과 동남아인 간의 상호 이해 부족과 오해 그리고 편견이 낳은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동남아를 미래 동반자로 상정하는 ‘신남방정책’이 바로 잡아야 할 최우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동남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로막고 동남아 연구의 제도적 확장에 장애가 되는 동남아라는 용어에 담긴 편견을 바로잡으려는 방안으로써 아세안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학술적 차원에서 아세안은 주로 지역 기구로서 제도적 연구에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아세안 10개국을 포괄하는 지리적 경계와 2015년 아세안공동체 출범 이후 단순히 지역 기구를 넘어 동남아 지역 정체성의 주체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연구의 대상으로 접근할 수 있다. 현실적 측면에서 한국인은 ‘아세안’이란 용어를 ‘동남아’란 용어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각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는 언어가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하여 ‘동남아’라는 용어에 내재한 편견을 해소하고 상대를 올바로 이해하는 방안으로써 ‘아세안’이 가지는 가능성을 말해 준다. 또한, 한국 동남아 학계가 지속해서 주장하는 대학의 동남아 관련 학과 설립과 같은 교육과 연구의 기반 확대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Koreans do not understand Southeast Asia properly but believe that Southeast Asians like and trust Korea. On the other hand, Southeast Asians do not trust much in Korea but their mass popularity of Korea is increasing.” Such ironic situation could be a result of a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between Koreans and Southeast Asians. This should be the top priority that the “New Southern Policy,” which considers Southeast Asia as a future partner, should be correcte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SEAN studies as a path through the popular prejudice embedded in the term “Southeast Asia”, which hinders Koreans' true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 and obstruct institutional expansion of Southeast Asian studies in Korea.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ASEAN has been perceived as a regional organization and, ASEAN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institutional approach. However, given that geographical clearness encompassing 10 regional countries and that emerging regional identity since the launch of the ASEAN Community in 2015, ASEAN could be approached as a subject of area studies.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various data analyses show that Koreans perceive the term 'ASEAN' more positively than the term 'Southeast Asia'. This tells the possibility of ‘ASEAN’ as a path through the prejudice inherent in the term ‘Southeast Asia’ based on the logic that “language could affect a person’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This could also help promote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of Southeast Asian-related studies and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which consistently advocated by Korean academia of Southeast Asian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