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61년 조선 사신단의 청 문묘제도(文廟制度) 이해 (Understanding of the Qing Dynasty’s Munmyo System in 1761 by the Joseon envoy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4.09
28P 미리보기
1761년 조선 사신단의 청 문묘제도(文廟制度)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73권 / 31 ~ 58페이지
    · 저자명 : 김문식

    초록

    본고는 1761년에 북경을 방문한 조선 사신단이 청나라의 문묘제도를 이해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홍계희를 대표로 하는 조선 사신단은 1761년 1월 8일에 북경의 태학을 방문하였다.
    조선 사신단이 문묘제도를 이해하는 방식은 주나라와 명나라의 제도를 중시하고, 청나라의 제도를 비판하였다. 홍계희는 태학에 남아있는 석고를 주나라 문물로 이해하고 매우 귀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명나라는 방어시설을 정비하여 국방을 튼튼히 하였으나 청나라는 명나라가 건설한 성벽조차 온전히 보수하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그는 청나라의 역대제왕묘에서 명나라 신종 황제의 위패를 뺀 것을 비판하였다. 당시 조선에서는 임진왜란 때 조선을 구원해 준 신종의 공덕을 기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홍계희는 청나라의 문묘에서 송나라 6현(주돈이, 정호, 정이, 소옹, 장재, 주희)에 대한 예우가 소홀한 것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조선에서는 6현의 위패를 대성전의 종향위로 올려서 제사를 지냈으나, 청나라는 주희만 종향위로 올리고 나머지 5현은 여전히 동무와 서무의 종사위에 두었기 때문이다. 당시 조선 학계는 송학을 정학으로 여겼고, 청은 송학과 함께 한학을 중시한 결과였다.
    조선의 문묘제도는 송나라와 원나라의 제도를 따랐으며 명나라와 청나라 때의 변화는 전혀 수용하지 않았다. 1761년에 북경을 방문한 조선 사신단은 조선의 문묘제도를 기준으로 청의 문묘제도를 비판하였다. 조선과 청은 공자를 최고의 스승으로 모시는 유교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자국의 특징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문묘제도를 운영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ed the way the Joseon envoys who visited Beijing in 1761 understood the Qing Dynasty’s Munmyo system. On January 8, 1761, the Joseon envoys, representing Hong Gye-hee(洪啓禧), visited Taihak(太學) in Beijing.
    The way the Joseon envoys understood the Munmyo system emphasized the systems of the Zhou and Ming dynasties and criticized the system of the Qing Dynasty. Hong Gye-hee understood the stone drums(石鼓) remaining in Taihak as the culture of the Zhou Dynasty and considered them very precious. In addition, he praised the Ming Dynasty for strengthening the defense by overhauling defense facilities, and criticized the Qing Dynasty for not fully repairing even the walls built by the Ming Dynasty. He also criticized the exclusion of the plaque of Shinjong,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from the Royal Ancestral Temple of the Qing Dynasty. At that time, Joseon was honoring the meritorious deeds of Shinjong, who saved Jose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ng Gye-hee strongly criticized the neglect of the courtesy of the six Confucian scholars of the Song Dynasty(Ju-doni, Jeong-ho, Jeong-i, So-ong, Jang-jae, and Ju-hee) at the Munmyo Shrine of the Qing Dynasty. In Joseon, the six Confucian scholars’ plaques were raised to the Daeseongjeon Hall for rituals, but in the Qing Dynasty, only Ju-hee’s was raised to the Daeseongjeon Hall, and the other five scholars’ plaques were still placed in Dongmu(東廡) and Seomu(西廡). At that time, scholars in Joseon regarded Songhak(宋學) as an orthodox study, and scholars in the Qing Dynasty emphasized Hanhak(漢學) along with Songhak.
    Joseon’s Munmyo system followed the systems of the Song and Yuan dynasties and did not accept any changes in the system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Joseon envoys who visited Beijing in 1761 criticized the Qing Dynasty’s Munmyo system based on the Joseon Dynasty’s Munmyo system. Joseon and Qing had a common point as Confucian countries that served Confucius(孔子) as the best teacher, but two countries operated Munmyo system in a way that emphasized their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