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옹기 제작 전통의 재창조와 무형문화재 가치 논의 -경기지역 한 옹기공방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creation of Pottery-Making Traditionsand Discussions on the Value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Focused on Cases of a Pottery Workshopin the Gyeonggi Are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0.08
34P 미리보기
옹기 제작 전통의 재창조와 무형문화재 가치 논의 -경기지역 한 옹기공방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36권 / 55 ~ 88페이지
    · 저자명 : 이한승

    초록

    이 연구에서는 경기지역의 한 옹기공방에서 거의 단절될 위기에 처했던 옹기류 가운데 하나인 푸레도기를 재현하여 옹기 제작 전통을 재창조한 사례를 살펴보고, 그 무형문화재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우선 옹기장인이 어떠한 방식으로 옹기 제작 전통을 재창조하였으며, 그러한 전통 재창조의 계기와 목적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옹기 제작 전통 재창조와 관련하여 옹기장인의 생각과 제도적 측면에서 그 무형문화재적 가치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조사대상자인 공작옹기 공방의 방연석 씨는 미국 방문을 계기로 소박하게 실용성만 강조되던 기존 옹기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사람들이 소장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고급화된 푸레도기를 재창조하였다. 공작옹기 공방에서 제작되는 푸레도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양산체제를 지양하고 소량 생산을 통해서 푸레도기의 완성도와 작품성을 높이며, 둘째, 옹기 제작에서 부차적으로 여기는 미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장식성을 높이며, 셋째, 오지그릇보다도 높은 온도에서 소성하여 재래식 푸레도기보다 품질을 향상시켰으며, 넷째, 기존에 옹기를 제작하던 방식만 고수하지 않고, 다른 공예 종목의 기술을 응용하여 제작하며, 다섯째, 균등한 형태의 옹기를 제작하려는 기존 옹기 제작 방식과 다르게 낱낱의 푸레도기마다 개별적인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하였다.
    이러한 공작옹기 공방의 푸레도기 제작은 재래식 푸레도기 제작기술과 자기 제작기술이 융합되어 새로운 옹기 제작 문화로 재창조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문화융합적 전형으로서 가치를 가진다고 보았다. 또한 앞으로 전승 활성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전통 재창조의 경우에는 무형문화재 내에서도 병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observes cases in which pottery-making traditions have been recreated by reproducing puredogi (bluish pottery), which is a type of pottery of which production was almost discontinued at a pottery workshop in the Gyeonggi area and discussions were made regarding its value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First of all, observations were made of how pottery masters recreated pottery-making traditions and of what reasons and purposes lie behind the recreations of tradition and discussions were made of the thoughts of pottery masters with regard to the recreation of pottery-making traditions and of its value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from institutional aspects.
    After his visit to America, the research subject Bang Yeon Suk of the Craft Pottery Workshop recreated a more enhanced form of puredogi that people would want to possess, breaking away from the image of existing pottery that simply emphasized practicality. Puredogi made in the Craft Pottery Workshop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rejects a mass production system and increases the degree of completion and work quality of the puredogi through small quantity production, second, it heightens decorativeness by placing importance on aesthetic elements that are considered to be secondary in pottery- making, third, it is burn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earthenware to have quality that is higher than conventional puredogi, fourth, existing methods used to make pottery are not held to and techniques of other craft types are applied for production, and fifth, unlike existing production methods used to make pottery of even form, each puredogi is made to have its ow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puredogi production of the Craft Pottery Workshop fuses conventional puredogi production techniques with porcelain production techniques to recreate a new form of pottery production culture and this has value as a new culture fusion model. Also, in the case of recreations of tradition that can provide positive effects from aspects of future transmission vitalization, opinions were presented that plans should be made for them to coexist with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