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5世紀 高句麗의 南下와 三國의 領域向方 -『三國史記』 地理志 ‘高句麗故地’의 實際(Ⅰ) - (Goguryeo's Southward Advance in the 4~5th century and the Territorial Trend of three Kingdom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0.08
30P 미리보기
4~5世紀 高句麗의 南下와 三國의 領域向方 -『三國史記』 地理志 ‘高句麗故地’의 實際(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34권 / 21 ~ 50페이지
    · 저자명 : 장창은

    초록

    고구려와 백제는 4세기 중‧후반부터 예성강 유역을 놓고 치열한 공방전을 전개하였다. 백제는 雉壤城〔황해 배천〕을 차지함으로써 예성강 중‧하류를 확보했고, 고구려는 水谷城〔황해 신계〕을 교두보로 삼아 예성강 상류의 동북쪽에서 백제를 지속적으로 압박했다. 결국 4세기 후반까지 두 나라의 국경선은 예성강 중류를 기점으로 대치하는 형국을 이어갔다. 이와 같은 양상은 廣開土王(391~412) 즉위 후 고구려의 일방적인 승세 국면으로 변화되었다. 광개토왕은 392년에 4만의 대군을 이끌고 친히 원정에 나서 예성강 하류의 石峴城과 천혜의 요지였던 關彌城을 함락시킨데 이어 396년에는 백제의 수도 漢城까지 함락하였다. 이때 아신왕(392~405)은 광개토왕에게 老客임을 자칭하면서 항복했고, 광개토왕은 그 대가로 남한강 상류 지역을 포함한 58城 700村을 획득하였다. 이로써 고구려는 중부 내륙지방의 죽령로를 확보할 수 있었다. 다만 광개토왕이 勝戰의 결과물을 가지고 회군하면서 적어도 한강 유역에서 임진강 유역 사이에 대한 고구려의 영역지배는 관철되지 못하였다. 오히려 5세기 들어 북중국에서 北魏가 등장하면서 고구려 국력의 지향점이 요동 지역에 기울었고, 그에 따라 고구려의 남하도 실행되지 못했다. 그리하여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선은 長壽王(413~491)이 백제 한성시대를 종식시키는 475년까지 대체로 예성강~임진강 선을 유지하였다.
    광개토왕의 400년 南征을 계기로 고구려는 죽령로를 장악함으로써 國原〔충북 충주〕을 거점으로 삼아 태백산맥 서쪽의 강원도 전역과 충북 동쪽 일부를 영역지배〔선‧점지배〕하였다. 고구려는 400년 무렵부터 5세기 중반까지 신라의 영토에 자국 군대를 주둔시키면서 경북 일대를 세력권으로 삼았다. 하지만 그것이 고구려의 신라에 대한 영역지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곧 고구려의 영역은 소백산맥을 넘지 못했다. 그나마 신라 눌지왕(417~458)이 집권 후반기 고구려세력을 축출하면서 ‘고구려고지’로 남게 된 경북 일대의 세력권마저 급속히 소멸되어 갔다. 이에 따라 고구려와 신라는 5세기 중반 이후 소백산맥과 동해안의 강릉을 국경선으로 삼아 대치하였다.

    영어초록

    Goguryeo and Baekje had lots of offensive and defensive battles to take the Yeseong River from the middle and late 4th century.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me Goguryeo's superiority after King Gwanggaeto(391~412)'s enthronement. And Baekje transferred the capital from Hanseong to Ungjin in 475 after the invasion of King Jangsu(413~491).
    Since 400, Goguryeo taked the Jungnyeong route until in the middle of 5th. Goguryeo intervented Silla's politics. Furthermore stationed a troops in Territory of Silla. But it was not meaned domination of Territory. King Nulji(417~457) made an effort to escape from intervention of Goguryeo power. As a result, since in the middle of 5th Goguryeo and Silla stand face to face with in Sobaek mountains and the Gangneung of East-co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