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고대 국가의 藏書制度와 역사서의 편찬 - 漢代의 藏書制度를 중심으로 - (Collection System (藏書制度) and Edition of History Books in Ancient China - Based on Han Dynasty's Collection System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2.12
37P 미리보기
중국 고대 국가의 藏書制度와 역사서의 편찬 - 漢代의 藏書制度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26호 / 317 ~ 353페이지
    · 저자명 : 방향숙

    초록

    이 글에서는 고대 역사서 편수에 활용되었던 문서나 도서들의 생성, 즉 사료의 생성과정과 이를 정리 보관하는 방법 및 열람의 방법을 탐색하여 이 국가 문서들이 역사서의 편찬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알아보았다. 문서나 도서를 수집하여 보관, 열람하는 제도를 이 글에서는 ‘藏書制度’라고 표현하고자 한다. 이 글의 연구 시기는 주로 漢代를 중심으로 하되 이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위진남북조·수·당대를 포함하였다.
    역사서에 왕들의 기록만이 아닌 다양한 사회상을 서술하기 시작한 사람은 사마천이다. 『사기』를 저술하기 위해서 사마천이 활용한 사료는 국가의 공식적 기록 외에도 다양했다. 잘 알려져 있듯이 사마천은 태사령이라는 관직을 지내면서 국가의 문서도적을 관리하는 일을 담당하였기 때문이 다양한 사료를 접하고 활용하였던 것이다.
    사마천이 『사기』를 저술하였던 전한대에는 많은 장서부들이 있었다. 우선 국가의 중요문서를 보관하던 금궤(金櫃) 석실(石室)부터 외조(外朝)에 있던 태상(太常), 태사(太史), 박사(博士) 관부의 장서가 있었다. 또 궁전 내에는 연각(延閣), 광내(廣內), 비실(秘室), 천록각(天祿閣), 석거각(石渠閣), 난대(蘭臺), 기린각(麒麟閣) 등이 있었다. 사마천은 이 장서부들의 전적을 모두 섭렵할 수 있었을 것이다. 가장 귀중본을 보관하는 금궤석실의 문서를 열람할 수 있었다고 하니, 다른 장서들을 보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태사령에게는 군국의 상계문서가 가장 먼저 전달되어 군국의 사정을 그대로 역사서에 반영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전한대에 비해 후한의 장서시설은 축소되었다. 벽옹(辟雍), 동관(東觀), 난대(蘭臺), 석실(石室), 선명(宣明), 홍도(鴻都) 등이 후한대의 장서부인데, 이 중 벽옹, 홍도 등은 교육을 펼치는 곳으로 전적이 있었다 하더라도 경전을 위주로 한 전적이 보관되어 있었을 것이고, 동관은 역사서가 저술된 곳이기는 하지만 본래의 기능이 태학이나 홍도와 같은 교육 장소였기 때문에 이곳에서 역사서를 저술하였던 이유는 名儒들을 머물게 하여 찬수하려는 것이었다. 한편 『漢書』가 저술된 난대는 국가의 공문서가 모이는 곳이었으므로 난대에서의 사서의 찬수는 유리한 점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때는 통사를 저술하는 것이 아니었으므로 많은 전적을 열람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후한 이후 전적의 보관은 비서에서 전담하고 역사서술이 비서령에 의해서 이루어지거나 비서성에서 분파된 저작성 등으로 이관되었다.
    또한 사마천의 경우는 그 자신 태사령으로써 천문, 역법을 관장하였고, 문서관리를 담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계문서도 수신하였으므로 스스로 사료를 생성하고 관리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후한 이후에는 주로 황제의 근시지관이나 내조에 속한 관부에서 주로 역사서를 저술하였으므로 군주의 의사가 쉽게 반영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사서의 편찬과 사서의 내용은 군주의 강력한 간섭 속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이는 자유로운 역사서술을 방해하였다. 이 과정에서 역대 왕조의 장서시설은 점차 궁정 안으로 집결되었으며 이 또한 관찬역사서의 찬수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후대로 갈수록 전적으로 모으고 관리하는 장서부가 통합되어 갔다. 秘書省이나 集書省으로 문서의 보관과 정리가 단일화되면서, 관리라는 측면에서는 효율적이었을지 모르지만, 다양한 역사서의 저술은 어려워졌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historical materials (Si Liao, 史料), the national documents and books that were utilized in the edition of ancient history books, contributed in compiling history book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creation and ways to store and browse relevant materials. ‘collection system (藏書制度)' is defined as the system of collecting, storing and browsing documents or books throughout this study. Although the study is mainly based on Han (漢) Dynasty, it also consulted Wei Jin Nan Bei (魏晉南北) and Sui Tang (隨唐) Dynasty to compare the process of development.
    Sima Qian (司馬遷) was the first person to describe not only the records of Kings, but also various aspects of society. He applied diverse sources of historical materials other than national records to 『Shi Ji (史記)』. As it is well known, since his position in the office was Tai Shi Ling (太史令), whose duty was to manage national documents and books, he was able to access to and utilize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There were many divisions in the office to manage Collection(藏書) during the early Han Dynasty, when Sima Qian wrote Shi Ji. Jin Gui (金櫃) and Shi Shi (石室), which stored important national documents and Tai Shang (太常), Tai Shi (太史), Bo Shi (博士) which belonged to Wai Chao (外朝) were those. Also, Yan Ge (延閣), Guang Nei (廣內), Mi Shi (秘室), Tian Lu Ge (天祿閣), Shi Qu Ge (石渠閣), Lan Tai (蘭臺), Qi Lin Ge (麒麟閣), and etc., were placed within the Palace. Sima Qian was able to cover all materials of those divisions. Since he was able to access to the most valuable documents that were stored in Jin Gui and Shi Shi, he would have been able to study other materials as well. Furthermore, because Tai Shi Ling was the first person to receive national documents to be delivered to the upper level, it was easier for him to reflect them to the books.
    However, compared to the early Han Dynasty, the scale of Collection facilities was trimmed in the late Han Dynasty. Among Pi Yong (辟雍), Dong Guan (東觀), Lan Tai (蘭臺), Shi Shi (石室), Xuan Ming (宣明), Hong Du (鴻都), and etc., relevant divisions of late Han Dynasty, Pi Yong and Hong Du stored educational books including Jing Dian (經典). Many history books were written in Dong Guan. Since its original function w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like Tai Xue (太學) and Hong Du, the reason why many books were written here was to compel famous scholars (Ming Ru, 名儒) to stay in Dong Guan to edit books. On the other hand, since official documents of the nation were all gathered in Lan Tai, where 『Han Shu (漢書)』 was written, Lan Tai had advantages to edit history books. Even so, it was not necessary to retrieve many books because it did not cover the whole history. After late Han Dynasty, the secretaries (Mi Shu, 秘書) were in charge of storing books, and historical presentations were done under their order or transferred to the division of authorship (Zhu Zuo 著作), which was separated from the division of secretaries.
    Sima Qian, as a Tai Shi Ling, was in charge of astronomy and calender. Since he managed documents and received documents to be delivered to the upper level as well, he was not only the editor, but also the manager of historical materials. However, because history books were written by nearsighted officials of the Emperor or by the official divisions belong to the Dynaysty, the opinions of the Emperor were reflected more to the books after late Han Dynasty. This was why the edition and contents of history books were strongly interfered by the Emperor, which hindered frank presentations of history. During this procedure, Collection facilities of many dynasties were assembled into the palace. This was also for the government to compile the history books. Divisions of Collection, which collected and managed books began to merge as time passed―Mi Shu Sheng (秘書省) or Ji Shu Sheng (集書省) was in charge of both storing and arranging documents. Even though the merging of divisions may have been efficient in the management of documents, it was difficcult to write diverse history books. The history of merging exerted certain influence to thereafter - history books of dynasties after Jin were written routin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