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반도 중동부지역 신석기시대 생계유형의 검토 - 석기 분석을 중심으로 - (Types of Livelihood in the Middle 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Ag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6.07
36P 미리보기
한반도 중동부지역 신석기시대 생계유형의 검토 - 석기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신석기연구 / 31호 / 51 ~ 86페이지
    · 저자명 : 윤정국

    초록

    본고는 중동부지역의 석기를 검토하여 생계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유적을 시공간적으로 구분하고 석기의 수량을 검토하였다. 이후 석기 기종을 나누고 용도별로 분석하고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동부지역에서 생계유형의 양상과 변동을 3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먼저 1단계(조․전기)는 수렵과 어로가 중심을 이룬다. 동해안권역에서는 조기에 유적이 확인되지만 해수면의 상승과 함께 지형과 환경의 변동이 나타난다. 유적에서는 낚시도구를 중심으로 한 어로구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중부내륙권역은 전기에 동굴을 중심으로 유적이 분포한다. 석기조성은 수렵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동굴유적에서 결합식낚시축부, 조개껍질 등이 출토되고 있어 동해안권역과 관계망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2단계(중기)는 잡곡농경의 유입된다. 중부내륙권역은 강변 충적대지에 유적이 분포하고 채집농경구와 식료가공구가 증가한다. 동해안권역은 침선문계 토기, 새로운 석기세트 등이 유입된다. 하지만 채집농경구에 비해 어망추의 수량증가가 뚜렷하다. 물론 문암리유적에서 경작유구가 확인되고, 토기압흔에서 조와 기장 등 식물유체가 증가하고 있어 단기간의 적응전략에 따른 잡곡농경이 이루어진 것은 명확하다. 하지만 어망추의 증가 등 석기조성의 변화로 보면 잡곡농경에 대한 생계비중은 높지 않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잡곡농경과 더불어 어로 및 수렵 등에서 생계방식의 다양화를 시도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3단계(후기)는 권역별 생계유형의 변화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중부내륙권역은 유적의 분포가 넓게 펼쳐진다. 또한 석기조성이 이전단계와 동일하지만 빈도상으로 채집농경구가 증가하고 있어 잡곡농경의 비중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반해 동해안권역은 유적 분포와 수량이 확연히 감소하고, 석기조성도 어망추와 가공구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아마도 어떤 이유(기후한랭화 등)에서인지 잡곡농경에 대한 적응 전략이 잘못되면서 어로를 바탕으로 하는 수렵채집경제가 유지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리하면 신석기시대 중동부지역의 생계유형은 시간적으로 3단계의 변동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것은 신석기인이 지역적인 환경에 따라 생계유형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적응한 산물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livelihood in the middle eastern region and changes to them by reviewing stoneware excavated in the region.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first categorized the relics by time and space and examined the amounts of stoneware. After categorizing the stoneware by type, it was analyzed by use to figure out its chang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ypes of livelihood underwent three stages of patterns and changes in the middle eastern region.
    Stage 1 (the early and former period) had hunting and fishing at the center. The early relics were confirmed in the East Coastal areas, but there were changes to the geography and environment with the rising sea level. The relics were dominated by fishing tools including fishing gear. Relics scattered around the caves in the central inland areas during the former period. The stoneware composition was characterized by a high percentage of hunting tools. There were combination-type fishing hooks and shells excavated in the cave relics, which leads to an estimation that the central inland areas formed a network with the East Coastal areas.
    Stage 2 (the middle period) witnessed the introduction of mixed grain farming. In the central inland areas, the relics were scattered around the riverside alluvial sites with the increase of gathering and farming tools and food processing tools. There was an inflow of Chimseonmungye pottery and new stoneware into the East Coastal areas, but the rising number of fishing net weights was clearer than that of gathering and farming tools. It is, of course, evident that they started to grow mixed grains according to their short-term adjustment strategy since there were farming artifacts excavated in the Munam-ri relic with increasing plant remains including millet and panicum in the pottery impressions. The changes to the stoneware composition including a rising percentage of fishing net weights, however, indicates that mixed grain farming did not hold a large portion in their livelihood. That is, they made an attempt at diversifying their modes of livelihood including mixed grain farming in addition to fishing and hunting at the stage.
    Stage 3 (the latter period) saw different changes to the types of livelihood according to the areas. The distribution of relics broadened in the central inland areas. The gathering and farming tools increased in frequency even though the stoneware composition went through no changes from the previous stage, which suggests that the percentage of mixed grain farming was kept at a certain level. In the East Coastal areas, the distribution and number of relics made a dramatic decrease with fishing net weights and processing tools taking the central position in stoneware compos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y must have taken a wrong adjustment strategy to mixed grain farming due to certain reasons (colder climate) and thus maintained their hunting and gathering economy based on fishing.
    In short, the types of livelihood changed in three chronological stages in the middle eastern region during the Neolithic Age, and they were the product of Neolithic people selectively accepting and adjusting themselves to the types of livelihood according to the regional environ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