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대 초·중기 예수교 조선전파 역사고: 연행사를 중심으로한 고찰 (A Study of the Catholic Input into Korea in the Qing Dynasty An Investigation based on Yan Xing mission)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9.12
58P 미리보기
청대 초·중기 예수교 조선전파 역사고: 연행사를 중심으로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와 문화 / 12호 / 43 ~ 100페이지
    · 저자명 : 유악무

    초록

    명ㆍ청시기 서양 천주교의 동아시아 전파 역사에 관한 여러 가지 학설이 존재한다. 특히 조선에 천주교가 전파된 시기에 관한 학계의 의견이 분분하여 현재까지 일치된 결론이 없는 상황이다. 천주교가 언제, 그리고 어떻게 중국을 거쳐 조선으로 전파되었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나라가 들어선 이후 본격적으로 조선에 천주교가 확산된 것은 당대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이다.
    명나라 말 이래로 서양 종교계는 천주교를 조선에 들여오려 했으나 번번이 실패하였다. 그런데 청나라가 건국된 후 특히 강희, 옹정, 건륭 시기에 많은 유리한 조건들이 천주교의 조선 포교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 매개체가 된 것은 조선에서 파견된 연행사였다. 조선 연행사는 청나라의 시찰과 정보의 수집을 중요한 업무로 삼았는데, 시찰 대상에는 수도의 “이방인”인 서양 선교사도 포함되었다. 때문에 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역에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 목적이었던 북경의 선교사들은 교회를 기지로 삼아, 매 번 중국에 온 연행사와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으며 그들을 통해 하느님의 복음을 조선에 전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초창기에는 천주교의 조선 전파는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조선은 일찍이 중국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자국문화를 형성하였다. 조선의 위정자들은 유교사상을 근간으로 삼아 숭상하였으며, 백성들 사이에서는 전통적인 신과 불교의 존재가 뿌리 깊게 내려 서양의 종교인 천주교가 조선에 들어가 전통적인 신안체계 속에서 믿음을 얻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이러한 조선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천주교를 중국을 통해 전파하려 함에 따라 사회적 저항 역시 매우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양 선교사들은 단계적으로, 여러 경로를 통하여 천주교를 최종적으로 조선에 전파하였다. 이들은 조선 연행사의 예배당 시찰을 통해 연행사에게 가장 기본적인 천주교 지식을 얻게 하였고, 천주교 서적들을 연행사에게 주어 조선으로 가지고 들어가게 하였다. 또한 연행사와 자주 토론하는 기회를 만들어 조선인이 서양 천주교와 예배당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따라서 조선에서도 천주교 배척에서 나아가 점차 숭배 내지는 독실한 믿음에 이르는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이처럼 청시기 서양 천주교의 조선 전파 활동은 조선과 중국 양측에 모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조선의 전통신앙에 충격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조선인에게 이전의 “모든 종교의 배척”, “獨尊儒學”에서 기독교와 모든 종교로의 “회귀”의 길로 돌아서게 하였다. 또한 중국문화권에 충격을 주어 중국 중심의 “천하체계”를 와해시킴으로써 조선에 근대주권국가 관념의 태동을 유도하였다.

    영어초록

    Various theories exist on the history of the spread of Western Catholicism in East Asia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Especially, the academic community is divided over when Catholicism was spread in Chosun, so there is no consensus so far. Nothing has yet been clarified about the actual process of when and how Catholicism was spread through China to Chosun. Nevertheless, the spread of Catholicism in Chosun in earnest after the Qing Dynasty was established is a fact from the records of the time. Since the late Ming Dynasty, Western religious circles tried to import Catholicism into Korea, but they failed again and again. After entering the Qing Dynasty, especially in the Kangxi Yongzheng and Qianlong period, many favorable conditions changed the situation. ‘Yeon-haeng-sa’ from Chosun was the medium. 'Yeon-haeng-sa' made the inspection of the Qing Dynasty and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important tasks, including Western missionaries in the Qing capital. Missionaries in Beijing used the church as a base and gradually spread Catholicism to Chosun through various channels, using an envoy to the Qing Dynasty during the Chosun Dynasty, ‘Yeon-haeng-sa’. In the early days, however, the spread of Catholicism in Chosun was not a simple task. Chosun early formed its own culture based on Chinese culture. Catholicism, a Western religion, was hard to gain faith in Chosun. This is because Chosun's politicians were honored with Confucian ideas as the basis, and the existence of traditional gods and Buddhism was deeply rooted among the people. Social resistance was also very strong because Catholicism was spread through China amid this social atmosphere of Chosun.
    Nevertheless, Western missionaries eventually spread Catholicism to Chosun through various channels. They delivered the most basic Catholic knowledge to Yeon-haeng-sa through the inspection of the chapel of Yeon-haeng-sa of the Chosun Dynasty, and gave the Catholic books to Yeon-haeng-sa to bring them to Chosun. They also frequently discussed with Yeon-haeng-sa and intended to help Koreans understand more about Western Catholics and chapels. Thus, the Korean people gradually changed from their anti-Catholic attitudes to worshipping and devout attitudes. In the Qing Dynasty, the Catholic input in Korea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both China and Korea: It not only shocked the traditional spiritual beliefs of Korean society, but also impacted the “Chinese cultural circle”, and to a certain extent, brought about the germination of the concept of modern Korean sovereign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와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