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해 도서지역의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멸치를 중심으로- (Oral Heritages and Marine Atmosphere of the South Sea-Focused on Anchov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0.12
38P 미리보기
남해 도서지역의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멸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1호 / 301 ~ 338페이지
    · 저자명 : 홍순일

    초록

    이 논문은 멸치잡이와 관련된 남해 도서지역의 구비전승물을, 해양정서의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살피되, 생태적 생명성, 자연적 적응성, 개방적 다양성, 진취적 의식성에 초점을 두는 동시에 현사회에서 그것이 지닌 해양문화사적 위상을 검토한 것이다.
    첫째, 완도~고흥~남해권에 속하면서, 해양문화의 기점(起點)이 되는 거문도, 육지문화의 통로(通路)가 되는 남해도 등의 도서지역 멸치어장권에서, 개별성을 강조하고 지역성을 구현하기 위해, ‘생태적 생명문화, 자연적 적응문화, 개방적 다양문화, 진취적 의식문화’ 등에서 일반성과 개별성을 구분할 수 있다.
    둘째, 생명·생태의 신앙면에서 풍어제의 신격을 상상으로 신앙하며, 행위를 통해 신앙의 결절점(結節點)을 만들었다. 풍어제의 최영 장군, ‘재수가 좋다, 재수가 나쁘다’ 등의 논거로, 신앙이 상상에 의해서 추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적응·자연의 의례면에서 멸치어로의 시작에서 의례하며, 행위를 통해 생산의례의 결절점을 만들었다. 멸치잡이 어로, ‘숲 해치면 마을 망한다.’ 등을 논거로, 의례가 이행(移行)에 의해서 추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양·개방의 놀이면에서 풍어제를 시가무(詩歌舞)로 푸는 행위를 통해 놀이의 결절점을 만들었다. 초도의 산다이 방식의 화전놀이, 추자도 해녀의 산다이의 소리, 산다이의 ‘여럿이 모여서 소리하고 노’는 산다이의 <흥타령>, <엿타령> 등을 논거로, 놀이가 언어에 의해서 추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식·진취의 노동면에서 멸치어로에서, 기후, 해류 및 조류, 물때, 파도, 바람의 종류 등을 보고 소리를 하는 행위를 통해 노동의 결절점을 만들었다. 멸치잡이소리, “소리가 끼어야 재미있다", "소리하고 놀 때 흥이 난다" 등을 근거로, 노동이 소리에 의해서 추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남해 도서지역 구비전승물은 해양문화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것에서 해양정서가 구현되기 때문이다. 특히 멸치는 그 자체가 활어, 멸치잡이는, ‘여기’의 지점에서 남해 도서지역민이 필수한 문화론적 경제활성화의 통로, 그리고 멸치잡이의 어로문화자원은, ‘지금’의 시점에서 남해 도서지역민이 창조한 멸치의 회유문화이고, 시간에 따라 흥성과 망쇠를 논의할 수 있는 어장문화라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oral heritages in isles regions of Namhae, or the South Sea regarding anchovy fishery in view point of marine atmosphere, focusing on ecological vitality, natural adoptability, open diversity and progressive consciousness, as well as speculated on the marine-cultural status that the heritage possesses in the current society.
    First, the research can differentiate generality from individuality in ‘ecological vitality, natural adoptability, open diversity and progressive consciousness,’ in order to emphasize individuality and realize locality in anchovy-fishing areas of isles regions, such as Geomundo which is a part of Wando-Goheung-Namhae regions and is a starting point of marine culture and Namhaedo which is a channel of land culture.
    Second, in a sense of the religion of life and ecology, the resident made a node of religion via performance with belief in the divinity of Pungeoje (a good-catch ceremony) in imagination. It is found that belief was generated by imagination based on the reasons, such as the general Choiyeong in Pungeoje and the statement of ‘lucky or unlucky.’As for the case of adoptability and nature, the ceremony emerged from the beginning of anchovy fishery, and made a node for the rite of production. It is verified that the ceremony was generated by ritual performance based on anchovy fishery and the statement of ‘Destroying forest is ruining village.’In regard to the practice of diversity and openness, the resident made a node of play through the practice that materialized Pungeoje as poem, song and dance. It is proved that the play was generated by the language on the basis of Hwajeonnori, a kind of Sandai style of Chodo, Sandai Sori by Haenyeo or a female diver, oral statements which were produced by song and dance of Sandai groups and Heungtaryong and Yeottaryong of Sandai.
    In terms of the labor of consciousness and progressiveness, people made a node of labor through the performance in which they narrated atmosphere, ocean currents and tidal currents, tide time, wave and kinds of winds in anchovy fishery. It is found that the labor was generated by Sori on the evidence of the anchovy-catching song, the statement of “It must be fun when fishing goes with songs,” and “Fun comes with song and dance.”Last, oral heritages in isles regions of Namhae can be worth marine cultural value, by which marine atmosphere is realized. In particular, it is worth while to say that anchovy itself is a live fish; anchovy fishery is a channel by which the residents of Namhae isles regions search for culturological economic revitalization in ‘this area’; fishing cultural resource of anchovy fishery is a circular culture of anchovy which the residents of Namhae isles regions created in ‘this present time,; and is a fishery culture in which ups and downs can be discussed depending on tim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