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易』을 통해 본 바둑과 바둑판의 易學的 의미 (A Study of the I-Ching meaning of Baduk and Badukboard seen through Jeongyeok)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4.03
24P 미리보기
『正易』을 통해 본 바둑과 바둑판의 易學的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88호 / 149 ~ 172페이지
    · 저자명 : 임병학, 이태경, 김시우

    초록

    본 논문은 『주역』과 한국역학인 『정역』을 중심으로 바둑과 바둑판의 易學的 의미를 고찰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바둑의 기원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고, 바둑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바둑 규격은 현행 사용되고 있는 19줄바둑이 되는 과정에서 9줄, 13줄, 15줄바둑이 있었다.
    제3장에서는 바둑을 구성하는 바둑돌, 바둑판, 바둑을 두는 사람은 『주역』의 天․人․地 三才之道임을 고찰하였다. 바둑돌과 바둑판은 天圓地方의 이치를 담고 있으며, 바둑을 두는 것은 사람이 주체가 되어 하늘에 진리를 이 땅에 펼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제4장에서는 바둑판의 역학적 의미를 河圖와 洛書의 數理로 고찰하였다. 바둑판의 19줄은 가운데 10을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1–2–3–4–5–6–7–8–9–10–9–8–7–6–5–4–3–2–1로 배열되고 있다.
    바둑판의 19줄과 19줄을 乘하면 361점이 되는데, 361점(집)은 360과 1로 나눌 수 있다. 1은 가운데 天元으로 一太極이고, 360은 乾卦와 坤卦가 합덕된 것으로, 天人이 합덕된 이치를 담고 있다. 특히 하도와 낙서의 이치에서 300은 하도 55와 낙서 45가 합덕된 100수에 三才를 승한 것이고, 60은 하도 본체수 5와 낙서 본체수 10(5)을 합덕한 20에 삼재를 승한 것이다.
    바둑은 易學의 진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놀이이기 때문에 바둑을 두는 것은 하늘의 작용인 終始가 드러나는 것이며, 단순한 놀이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하늘의 진리를 자각하고 실천하는 본질적인 행위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Ching meaning of Baduk and Baduk board, focusing on the I-Ching and Korean I-Ching, Jeongyeok.
    In Chapter 2, there are several arguments about the origin of Baduk, bu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Baduk originated from the Dongyi people. In the process of becoming the currently used 19-line Baduk standard, there were 9 lines, 13 lines, and 15 lines of Baduk.
    In Chapter 3, it was considered that the baduk stones, the baduk board, and the people who play Baduk, which constitute Baduk, are the three worlds of Heaven, Human, and Earth in I-Ching. Baduk stones and boards contain the principles of the heavenly origin, and playing Baduk contains the meaning of spreading the truth in the sky to the earth as a person becomes the subject.
    In Chapter 4, the I-Ching meaning of the checkerboard was considered, focusing on the repair of Hetu(河圖) and Luoshu(洛書). The 19 lines of the checkerboard are 1-2-3-4-5-6-7-8-9-10-9-8-7-6-5-4-3 with the middle 10 as the heavenly source(天元).
    Multiplying the 19th and 19th lines of the checkerboard gives 361 points, and 361 points (house) can be divided by 360 and 1. 1 is the heavenly source in the middle, which is one Taegeuk(太極), and 360 is a combination of Qian hexagram(乾卦) and Kun hexagram(坤卦), containing the principle of the unity of the heavenly people.
    In particular, in the logic of Hetu and Luoshu, 300 is the sum of 55 Hetu and 45 Luoshu multiplied by Samjae(三才), and 60 is the sum of 5 Hetu main body and 10(5) Luoshu main body multiplied by 20 and Samja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