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도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범죄발생 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re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rime Occurre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9.12
30P 미리보기
용도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범죄발생 특성 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셉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디자인과 안전 / 10권 / 3호 / 9 ~ 38페이지
    · 저자명 : 서민진, 서연아, 강석진

    초록

    원도심을 중심으로 발달한 J시는 혁신도시조성 후 도심 기능이 분산되면서 다핵화 구조가 되었고, 유동인구 감소 및 기능의 분화로 원도심은 쇠퇴하고 있다. 범죄자료 분석결과 새로 형성된 도심지역으로 절도범죄 핫스팟이 형성되고 있지만 원도심에서의 핫스팟도 꾸준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J시 원도심에 위치한 주거밀집지역과 상가밀집지역 중 절도범죄가 가장 많이 일어난 A동(주거밀집지역)과 B동(상업밀집지역)을 대상으로 범죄와 공간특성 및 물리적 요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범죄는 범죄예방디자인(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으로 통제 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절도범죄(노상, 침입) 중심으로 설정하고,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분석에 사용할 물리적 요인은 가로특성, 건물특성, 시설특성, 범죄안전 특성, 공간구조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밀집지역인 A동에서 절도범죄는 비상벨 유무, 5대 범죄는 가로 폭의 적절성, 비상벨 유무, 통합도와 관계가 있으며, 폭력범죄는 유흥업소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절축선 각도분석에 의한 통합도가 낮아질수록 범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기존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공간의 중심성과 보행량(또는 유동인구)이 범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상업밀집지역인 B동에서는 절도범죄와 5대 범죄는 물리적 요인과 유의미한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폭력범죄는 가로환경 관리상태, 이격공간 출입통제 여부, 빈집 또는 공지여부, 안심공간(편의점) 유무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용도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공간적 특성과 절도범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로 폭의 적절성, 가로의 청소 및 관리상태, 은신가능 장애물, 1층 출입문 관리상태, 방범창 설치여부, CCTV 감시범위, 조명시설, 방범시설 시인성, 유흥업소, 안심공간 유무 등이 범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지역의 범위가 협소하고 범죄표본이 적어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지만 용도지역별 물리적 환경의 차이를 규명하였고, 공간적 특성 및 물리적 요인에 따라서 절도범죄 발생이 변함을 확인했다는 측면에서의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용도지역을 대상으로 공간적 특성과 함께 사회인구적 특성을 종합하여 범죄발생의 관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Developed at the center of the Old Downtown, J-City became a multi-centralization structure as the functions of the city center were dispersed after the creation of the innovative city, and the Old Downtown is declining due to the reduction of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of functions. Crim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ft-crime hot spot are forming in the newly formed urban areas, but hot spots in the Old Downtown are also steadily maintain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actors was analyzed among residential Areas and commercial Areas located in the Old Downtown of J-City, based on the most frequent cases of theft in the A-Dong (Residential Areas) and B-Dong (Commercial Areas). The targeted crime was set at the center of theft (street, invasion) considered controllable by the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hysical factors to be used for analysis through prior research were classified as street characteristics, building characteristics, facilities and space characteristics, crime safety characteristics, and space characteristics.
    The study found that first, in the residential Areas of A-dong theft is related to emergency bell Presence or Absence and fifth major crimes are related to street-wide appropriateness, emergency bell Presence or Absence and integration, and violent crime is related to entertainment place. In particular, crime tended to increase as the degree of integration by segmented axial angle analysis was reduced. This is consistent with existing studies, which show that the centrality of space and the amount of walking (or floating population) are closely related to crime. Second, in the commercial Areas of B-dong,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ft and five major crimes with physical factors. But Violent crim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state of management of the street environment, whether or not to enter a separate space, whether empty houses or public notices are available, and Presence or Absence there is a safe place (convenience store). Thir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ft without distinction of use area showed that appropriateness of street width, cleaning and management of street, hideable obstacle, management of entrance door on the first floor, installation of barrier windows, CCTV monitoring range, lighting facility, visibility of crime facilities, entertainment center, and safe space are related to crime.
    The area under study is narrow and the crime sample is small, so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is limited. But,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that the differenc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ach Land Use Areas were identified and the occurrence of theft changed depending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actors.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criminal occurrence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population along wit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r a wider range of use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디자인과 안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