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末 세계사 저·역술서에 나타난 세계 인식 (Korean World History Writings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0.08
38P 미리보기
韓末 세계사 저·역술서에 나타난 세계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5호 / 173 ~ 210페이지
    · 저자명 : 백옥경

    초록

    한국에서는 1876년 개항 이후 1910년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기까지의 40여 년간 6종의 세계사 책이 간행되었다. 이 시기는 이질적이며 폭력적으로 다가오는 서양의 국가들, 새롭게 동아시아의 맹주가 되려는 일본, 기존의 전통적 중국중심 질서 속에서 한국에 대한 종주권을 계속 유지하려는 청나라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시점이었다. 이때 한국을 둘러싼 세계질서를 어떻게 수용하고 대응할 것인가? 앞으로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 이 주제는 당시 한국 지식인들의 치열한 고민의 대상이었고, 여러 가지 이론과 실천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세계사 저·역술서 역시 한국 내 세계인식의 재정립과 대응방안을 모색하면서 등장하였다. 세계정세를 이해하려면 과거 세계 역사가 전개되어 온 과정을 탐구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세계사에 대한 관심을 확대시킨 까닭이다.
    이 시기 세계사 서적들을 살펴보면, 1905년과 1909년을 기점으로 하여 저술 주체 및 세계인식에 변화가 나타난다. 저술 주체는 저술 역량의 축적에 따라 일본인이 참여한 저술에서 한국인의 譯述 및 撰述로, 그리고 독자적인 저술의 단계로까지 변화되었다. 1896년에 처음 간행된 『萬國略史』는 한국 근대 교육담당 관서인 學部 주도하에 이루어진 官撰의 형태인데다가 일본인 고문관의 참여로 완성될 수 있었다. 1905년부터 1907년까지 간행된 『萬國史記』·『精選萬國史』·『東西洋歷史』·『中等萬國史』는 모두 譯述 혹은 撰述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한국의 세계인식이 여전히 소개의 단계에 머물러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1909년 장지연의 『萬國事物紀原歷史』 단계에 이르러서야 독자적인 세계사서의 저술이 등장하였다. 이는 세계사 서적의 간행 경험, 세계사 관련 번역 활동의 확대 등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결과였다.
    한편 세계인식에서는 중국 중심의 화이론적 질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한 출발점이었다. ‘지는 제국’으로서의 무력함을 드러내는 청 중심의 세계질서에서 벗어나 서구와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려는 시도였던 것이다.
    이후 서구중심의 세계인식 하에서, 각 세계사서는 시대적 상황 및 저술 주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로서 이에 대응해 나갔다. 이는 각각 한국이 처해있던 정치적 상황과도 맞닿아 있으며, 저술주체의 성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최초의 세계사서인 『만국약사』에서는 서구적인 문명을 추구하면서도 그 실제적인 모델로서의 일본의 위상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세계관은 역술과 찬술의 단계에서 다소 극복되지만, 대신 문명을 기준으로 ‘서양’과 ‘동양’이 명확히 대비되는 가운데 갈등과 생존경쟁의 세계질서가 크게 강조되고 있었다. 그리고 정체된 ‘동양’에 속하였던 한국이 도태될 수 있다는 민족적 위기감 속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문명화를 추구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동양의 제휴를 통해 서양에 대응하려는 시도가 조심스럽게 나타났다. 한편 장지연의 『만국사물기원역사』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동양’을 재평가하면서 유교적 문명관에 입각한 새로운 세계관을 모색하였다. 그 과정에서 동양의 문명 역시 서양의 문명에 못지않은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유교적인 문명을 중심으로 한 동양의 단위 설정은 결과적으로 동아시아에서의 일본의 지배와 영향력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그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In Korea, six kinds of World History Writings had been published for some forty years, from the opening of its ports in 1876 to its colonization by the Japanese in 1910. it was time that the complex influence of the following elements could be found. The “western" powers, appearing dissimilar, even violent; Japan, taking the advantage of the situation and aspiring to become the leading power of East Asia; and Ch'ing China, wanting to sustain its hold over Korea within the existing, traditional order in which the Chinese were dominant. How to accept and how to counter these complex world order, and which direction for Korea to go in the future, were questions that the Korean intellectuals of the period agonized over. It resulted in developing various theories and practical movements. The writings and translation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are examples of such attempts to systematically redefine the cognition of the world and to find ways to confront issues.
    The translations of World History Writings during this period were books which appeared to attempts to systematically redefine the cognition of the world and to find ways to confront issues. It resulted from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world situation and to expand the attention of world past history. So, World History Writings was reflected the World cognition and became the base to find a way for Korean people in the world.
    When we look at the World History Writings at these times, writers and the cognition of world were changed from 1905 to 1909. At first, the authors were mainly Japanese with accumulation of writing capability who translated and edited world history writings, but in later were Korean writers who wrote it directly. The Mangukyaksa which was the first textbook world history published in 1895, and published by the hakbu, was called, which was the educational department of government, and Japanese advisors were involved to put together and to be able to finish it. So, World History Writings are Manguksagi, Jeongseonmanuksa, Donseoyangyeoksa, and Joongdeung Manguksa which were published from 1905 to 1907. theses show that the cognition of the world by Korean were only the basic stage to introduce and to study the world. And Manguksamulkiwonyeoksa which had written by Jang Jiyeon in the year of 1909 appeared as world history writing independently. It had resulted from the base on experiences which published the world history writing and the expanded translating activities on world history and so on.
    On the other hand, the effort to overcome the Sinocentrism perspective was a new start. it was a trial to get out of China which the world order centered on Ch’ing China with no power and the second country status as a ‘being sinking the Empire' and then to set up the relationship with western country newly.
    After then, the cognition of world was changed from the Chinese center to the western center, and each world history writing also confronted with their logics according to their timely situation and the authors. it had relevance to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propensity of writing authors.
    The Mangukyaksa which is the first book on world history appeared to seek the western cultivation and at the same time elevated Japan's position in East Asia. Though this point of view of World was overcome at the stage of translating and editing a little in contrast with Western and Oriental clearly, it emphasize the new world order of conflict and survival when the Orient and The West and was contrasted. Among them, Korea which belonged to the sluggish Orient tried to westernize more than before with the crisis of natural selection.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trial to confront it through the alliance with Orient appeared carefully. Moreover, Manguksamulkiwonyeoksa which had written by Jang Jiyeon, reinterpreted the Orient and found the point of view about the world with Confucian civilization. He re-evaluate the value of Oriental civilization. But it showed that the Orient with Confucian civilization had the limitation which accepted the domination by Japan and the influence of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