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南江流域 靑銅器時代 磨製石器 硏究 (An Archaeological Study on the Polished Stone Tools in the Nam River Basi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5.04
39P 미리보기
南江流域 靑銅器時代 磨製石器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동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청동기학보 / 16호 / 52 ~ 90페이지
    · 저자명 : 이민주

    초록

    주지하다시피 청동기시대는 신석기시대보다 정형화된 석기인 磨製石器가 성행하였으며, 청동기시대에서 당시인들의 주요 도구였던 석기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지역연구가 활발하다고 할 수 있는 남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연구는 아직까지도 토기나 특정 유구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이고, 그에 비해 석기연구는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나마 최근에 나온 남강유역 석기연구는 석기의 개별 기종만을 분석한 연구이기 때문에 남강유역의 전체적인 석기양상을 알기에는 무리가 있다.
    필자는 이에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대표 동일문화지역권이라 할 수 있는 南江流域을 연구대상지역으로 하여 최근까지 확인된 다수의 자료를 바탕으로 형식 분류가 가능한 대표 마제석기들의 편년과단계설정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지역 석기문화가 가진 특징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천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고는 기본적으로 기존에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어 시간성을 잘 알 수 있고, 공반관계 검토가 용이한 출토유구인 주거지와 무덤과의 비교 검토 및 각 기종별 마제석기의 공반양상을 통해 남강유역 청동기시대를 총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남강유역 석기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형식을 기종별로 살펴보자면, 석검은 무덤에서만 출토되는 병부가 직선형인 ⅡC식, 단부돌출형 석촉 ⅢA5식과 촉신의 형태가 방패형인 ⅢBㄱ식, 한쪽 단부가 부푼형태의 석도 Ⅳㄷ식 등이 있다. 이러한 형식들은 남강유역의 지표형식으로서 추후 다른 지역과의상관관계 및 영향력까지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본고의 석기연구를 통하여 남강유역이라는 동일문화지역에서 확인되는 諸석기 양상을 살펴보고, 청동기시대의 문화상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주요한 고고학자료로서 가진 의미를 상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Nam-river basin is located in the southwest Gyeongsangnam-do which has been recognized archaeologist by large-scale excavation through Nam-river Dam project in 1990’s, also where has attracted the notice of the world. It have been a lot of previous studies about archaeological materials of Nam-river basin. Among others, Bronze age achieved considerable research. In order to excavated a lot of relics of Bronze Age, it have served as not only chronological study based on Mumun pottery but also improved polished pottery and extensive studies of settlement on Nam-river, new study to restoration of dwelling site and other various studies have gone through significant growth consistently.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such researches, we could be confirmed that Nam-river basin had the distinguished and regionalized cultural cluster.
    In spite of many meaningful attempts, there are focused on certain remains or pottery. While researches of stone tools had been limited. Though, recently studies related to Nam-river basin stone tools are unreasonable for figure out through phase of stone tools due to analyse of each separated item.
    The stone tools study of Nam-river basin as a cultural cluster, represented the Bronze age, has not been sufficiently made. It is thus necessary to recognize them to be reinforced. This study aims to analyzed cultural features and historical changes by over time; and concentrate on classified polished stone tools of representative; and established stages in chronological order that have been recently excavated and reported.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major parts. In the second chapter, stone daggers, stone arrowheads, stone knives and stone axe as major represented by reviewing prior studies of and the overall research on the status of stone age analysis for the polished stone tools.
    In the third chapter, it were established stages in chronological order by referred to the overlapping relation in the accompanying relationship, in the stone tools based on the classified type.
    In the four chapter, the cultural features by period on the basis of the changing aspect by period, analyzed and compared to other regions. As a result, extensive reviews bound to improve Nam-river basin of bronze age by divided into 5 stages.
    Stone daggers and stone arrows heads getting more and more various and different aspects by relics’s trait. It determine that the tools had been reflected opinion of the people. On the contrary, In EarlyㆍFirst, stone knives and polished stone axe kind of work tools had various types that stone knives had been dropping steadily except for explosively increased triangle stone knife.
    A certain tool had been stereotyped through designed to maximize efficiency. The need for mass production had increased when expanded the settlement site demanded a standardizing crop tool as social backgrounds.
    The advent of‘ full equipped stone tools set’ was considered defining point in time to be remarkable progress in Bronze age. It had a important thing to their around lives when they concentrated on the selected efficient model by enable to convenient work than previous tools in the era. According to the progress, it seems to be specialized and standardized many models by purposes in the late Bronze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청동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