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易)의 육십사괘(六十四卦) 상징과 분석 심리학의 무의식에 드러나는 예술 (The Symbol of ‘The sexty-four trigrams’ in Change and the unconsciousness of analytical psycholog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9.12
29P 미리보기
역(易)의 육십사괘(六十四卦) 상징과 분석 심리학의 무의식에 드러나는 예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117권 / 89 ~ 117페이지
    · 저자명 : 황의필

    초록

    이 연구는 칼 융이 추구하려던 동양사상의 관심을 보다 더 체계화하고 검증함으로써 역의 육십사괘 상징이 분석심리학에 어떤 영향과 동질성을 갖는지 파악한다. 아울러 분석심리학에 미친 역의 원리가 남긴 근거나 섭리를 변화의 순행 원리로 밝힌다. 그 일환으로 역의 육십사괘 상징과 분석심리학의 무의식을 바탕으로 인간 심리의 구심점을 찾는다.
    연구 목적은 분석심리학과 역학의 상호 교섭 차원에서 비교 분석하여 합일점을 추출하는 일이다. 연구 도구로는 칼 융의 『심리 유형(Psychological types)』과 『역학』을 주로 활용한다. 이리하여 연구 방법과 방향에 도달하려는 방안으로 두 문헌을 바탕으로 심리유형과 역의 상징성을 접목하여 문헌 해제한다. 이로써 분석심리학의 인간 심리가 역학 상징에서는 어떻게 읽히는지 진술함으로써 인간 원형의 핵심을 도출한다.
    이로 말미암아 역의 육십사괘 상징이 분석 심리학의 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다. 그 결과 인간 심리가 역의 변화 섭리에 순응하는 만큼 상호 교섭 차원에서 동질성을 드러낸다. 그 일환으로 역의 육십사괘에 담긴 상징은 인간 원형의 발판이어서 분석 심리학에 따른 심리 유형을 뒷받침한다.
    으레 인간 심리형에는 인격, 삶의 과정, 희망이나 소망을 망라한다. 이에 외향형은 객관화에 동화된 사실로서 상상을 초래하므로 자신을 부정한다. 반면 내향형은 상상이 불가능한 자기 존재의 명증성을 이끌어내므로 단지 존재 상태로만 머문다. 더욱이 분석 심리학에서 무의식 태도는 의식에 따른 보상 심리의 의지이다. 따라서 무의식은 의식된 외향 태도에 주입하려는 욕구로 말미암아 내향성을 담는다. 여기에는 주관성의 외향 태도가 도사리므로 억압된 욕구에 집중한다.
    역은 태초에 태극, 사상, 팔괘, 육십사괘의 음양을 낳는 섭리이다. 그러므로 음양은 절대성보다는 상대성으로서 보완의 성질이 담기기 때문에 무한히 서로 잉태를 반복한다. 또한 육십사괘에는 무궁무진한 변화의 지속 작용이 따르므로 창조성과 연결된다. 즉 소성괘와 대성괘가 순환 반복하는 양상을 띤다.
    이는 시공간의 구속에서 떠난 정신세계와 맞닿는다. 이를테면 정신에 따른 영원성과 편재성이 시공간을 초월하는 형국이다. 결국 창조성은 무의식 세계의 욕구에 순응하면서 외로움(loneliness)과 더불어 창의력을 발휘한다. 말하자면 사회 부적응으로 유발되는 관계 부족의 한 형태이다. 그러니 비정상인의 정신분열은 예술 상상력의 결여로 발생하는 명료성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ystematized the oriental thought that Carl Jung was interested in, and it was understood how the symbol of ‘The sexty-four trigrams(六十四卦)’ of Change(易) influenced analytical psychology. This revealed the principle of Change which influenced analytical psychology. As a result, we revealed the core of human psychology based on the symbol of ‘The sexty-four program’ of Change and the unconsciousness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t the mutual level of the Department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Book of Change’. Research tools include Carl Jung's ‘Phyological Types’ and ‘The Book of Change’. Thus, as a way to reach the research method and direction, it combines the psychological type and the symbolism of ‘Change’ based on the two documents. This reveals how human psychology appears as a human prototype in the symbol of ‘the Book of Change’.
    Thus, we have identified how the symbol ‘The sexty-four trigrams’ affects the unconsciousness of analytical psychology. As a result, human psychology reveals reciprocity as it conforms to the meaning of Change. In that way, the symbol in The sexty-four trigrams of Change supports the psychological type of analytical psychology because it is a stepping stone of human prototype.
    Human psychological forms encompass personality, process of life, hope, and hope, and thus extroverts deny themselves because they cause imagination as a fact of objectification. Introverts, on the other hand, are merely states of existence because they lead to the manifestation of their unimaginable self. The unconscious, therefore, is introverted by the conscious desire, which is where the subjectivity is revealed, so it focuses only on the desire to suppress.
    Change refers to ‘the glad ultimate(太極)’, ‘four symbol(四象)’, ‘the eight trigrams(八卦)’, and ‘the sexty-four trigrams(六十四卦)’ in the beginning. Therefore, ‘the positive and negative(陰陽)’ repeats the phenomenon of complement as relativity rather than absoluteness. Also, The sexty-four trigrams are linked to creativity because of the continuous action of change. The ‘teight trigrams(小成卦)’ and ‘The sexty-four trigrams(大成卦)’ are repetitively circulating.
    This is in line with the spiritual world that has lef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for example, eternity and ubiquitousness of the mind transcend time and space. In the end, creativity is driven by the need of the unconscious world, along with loneliness. It is a form of lack of relationships caused by social maladjustment. So the schizophrenia of the abnormal person is the clarity caused by the lack of artistic imag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