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사상사 연구방법론으로서 易의 가능성 試論 - 이병헌·안재홍·박종홍·류승국을 중심으로 한 예비적 고찰 (The Possibility of Yerk(易)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Korean Philosophy Histor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1.12
29P 미리보기
한국사상사 연구방법론으로서 易의 가능성 試論 - 이병헌·안재홍·박종홍·류승국을 중심으로 한 예비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6권 / 301 ~ 329페이지
    · 저자명 : 이선경

    초록

    이 글은 역(易)이 한국의 학술 및 문화와 밀접한 관계에 있음에 주목하고, 한국사상사 연구방법론으로서 역의 논리의 형성가능성을 예비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역과 한국사상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인식한 4명의 학자의 경우를 고찰하였다. 진암 이병헌, 민세 안재홍, 열암 박종홍, 도원 류승국이 그들이다.
    이병헌은 역과 한국사상사의 관계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공자를 동방계로 인식하고, 유교가 ‘동방의 교’라고 천명하면서 공자가 손수 지은 작품이 「역전(易傳)」이기에, 역과 조선의 학술문화가 깊은 관계에 있다고 보았다. 안재홍은 우리가 쓰는 말이 그대로 ‘생활이념’이며 ‘철리(哲理)’가 담긴 것이라고 보아, 우리말에 담긴 철학적 의미를 풀어냄으로써 한민족의 세계관과 인간관 그리고 정치철학을 제시하였다. 그는 역에 대해서만큼은 특별하게 생각하여 역은 조선적 요소가 매우 많은 것으로, 역리와 태극사상, 그리고 오방사상은 일종의 국제공통성을 지닌다고 파악하고, 역의 음양론과 생명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박종홍은 역의 ‘중의 변증론’이 헤겔의 이성주의와 실존주의의 내면적 진실성을 겸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중의 변증론’을 한국사상사의 골자로 보았다. 그는 ‘역사의 전개란 절대정신이나 역사법칙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주체의 자각과 실천에 달린 것이며, 종합 역시 인간주체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본다. 류승국 역시 ‘중의 인간론’을 말하며, 내외를 아우를 수 있는 인간의 순수한 주체성이 한국역학의 본질이자 한국사상의 본령이라고 주장한다.
    고찰의 결과 필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향을 얻게 되었다. 첫째, 역의 사유가 한국 학술문화의 중추를 형성한다는 점을 정당하게 주장하기 위해서는 한국사상의 시원과 역의 관계를 탐구해야 하며, 여기에는 ‘동이(東夷)’라는 큰 산맥이 놓여 있다. 둘째, 박종홍의 ‘중(中)의 변증론’과 류승국의 ‘중(中)의 인간론’으로부터 구체적으로 전개되어온 한국사상사를 조명할 수 있는 역의 논리를 시사받을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보다 정밀한 연구가 요청된다. 동시에 『정역』이 제시하는 황극인(皇極人)의 인간상 역시 새로운 휴머니즘의 모색을 위해 연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lose relationship of Yerk (易) to Korean academic and cultural studies,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Yerk (易)'s logic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Korean philosophy history. To this end, the case of four scholars who recognized that Yerk (易) and Korean thought were closely related was considered. They are Lee Byung-hun, Ahn Jae-hong, Park Jong-hong, and Ryu Seung-guk.
    Lee Byung-hun did not directly m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Yerk (易) and Korean history. However, he recognized Confucius as an Eastern person and declared Confucianism as the “teaching of the East.” “YerkJeon (易傳)” is Confucius's work, which means that Yerk (易) and Joseon's academic culture are deeply related. Ahn Jae-hong considered Yerk very special and said that Yerk has a lot of Korean elements. He identified Yerk's principle and Taegeuk's idea as international common principles. He actively accepts yin and yang theory and A's life ideas. Park Jong-hong saw that Yerk's dialectic could serve as both Hegel's rationalism and the inner truth of existentialism. He viewed ‘Mean's dialectic’ as the gist of Korean thought. He believes that “the development of history is not influenced by absolute spirit or laws of history, but depends o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human subject, and synthesis is also possible only through the human subject.” Ryu Seung-guk also refers to ‘Mean's Human Theory’. He believes that the pure subjectivity of human beings who can control both inside and outside is the essence of Korean thought.
    Park Jong-hong's “Mean's Dialectic Theory” and Ryu Seung-guk's “Mean's Human Theory” need to be studied more precisely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Korean history. At the same time, the human image of the Hwanggeuk-in (皇極人) presented by Jeong Yeok will also need to be studied to find new hum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