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易의 四曆變化原理 (The mechanism of four calendar changes of The Jeong Yeok(正易))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2.12
40P 미리보기
正易의 四曆變化原理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6호 / 211 ~ 250페이지
    · 저자명 : 송재국

    초록

    易學은 변화의 원리인 易理에 대한 보편적(철학적) 학문체계이다.
    동방 고대인의 卜筮행위에 관한 占辭의 성격으로 기록되어 전해진 易經(卦辭, 爻辭)에 대하여, 공자는 十翼을 纂하여 보탬으로써, “역경의 본의와 효용을 철학적 차원으로 완성”시켰으며, 이후 동양 정신문화의 原流인 周易의 位相으로 오늘날까지 現傳되어 왔음은 周知의 사실이다.
    그런데 易學史에 있어서 孔子 以後 역학은 周易뿐이었으나, 19세기 후반 朝鮮에서 東夷族(동이족의 혈연적, 문화적, 역사적 嫡統인 韓民族)의 後裔인 一夫 金 恒 선생에 의하여, 새로운 이름의 易書 “正易”이 선포된 것이다.
    역학의 기본 구조는 주역과 정역 共히 “天道와 人事의 관계성에서 그 中道的 진리(時中之道)를 바르게 파악하는(允執厥中) 학문적 체계”를 설명한 것이다. 天道와 人事의 문제는 天과 地의 범주에서 구분하여 설명한 것이니, 주역은 이를 “四象과 四德”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고, 정역은 이를 “四曆變化의 우주사와 先後天世界의 인류사”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공자의 관심은 인간의 현실적 삶의 문제(도덕적 삶의 원리)를 중심으로 易道를 해석하고 있기에, 그 易理의 해설 방식 또한 공간적 表象(사회적 관계성)에 基盤하여, “易者象也”의 입장인 卦象을 위주로 삼고 있다. 이에 비하여 一夫는 인간의 삶의 제반 문제(人事全體)의 생명적 존재 근거인 “天道自體”의 존재구조와 그 생명적 전개법칙을 중심으로 하여 역도를 설명하고 있기에, 그 역리의 해명 방식 또한 “曆數變化(四曆變化)”를 기반으로 하여, “易者曆也”라는 曆數(天行의 시간적 度數원리)를 위주로 삼고 있다. 그러므로 역학의 본래적 의의를 충실히 究明하고 해설하기 위해서는 周易的 시각(四德的 관점)과 함께 正易的 시각(四象的 관점)이 동시에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정역에 대한 연구 성과는 주역의 그 것에 비하면 매우 疏略한 게 사실이다. 이는 아직까지도 정역에 대한 본격적이고도 심도 있는 연구 성과가 상당히 미흡함을 말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동양 정신문화의 기본 바탕이라고 여겨지는 역학의 연구 분야에서, 인간 존재의 존재 근거인 “시간성의 원리와 구조”를 해명한 정역의 “四曆的 변화원리”를, 정역에서 제시한 曆數原理에 입각하여, 역학적 체계 속에서 해석하고 소개함으로써, 역학의 본래적 의의와 효용성을 철학적 지평위에서 한 차원 심화시켜 해석하고, 해명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이다. 정역에 대한 이러한 “변화원리에 따른 우주사의 度數的 해명”은 오늘날 동양학 전반에서 膾炙되고 있는 이른바 “后天(開闢)세계의 到來”에 대하여 학문적(哲學的)으로 접근할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인 학문적 통로와 방법으로도 소용되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Study of changes is a universal(philosophical) academic system of principle of changes.
    As for 'I Ching' a book of divination, it is widely known that Confucius added 'Shi Yi'(十翼) to it, and completed it in philosophical dimension, and nowadays 'I Ching' is considered as the source of the spiritual culture of the East.
    In the history of the study of changes, 'I Ching' used to be the only book of the study of changes since Confucius, however 'Jeong Yeok(正易)' was declared as new name for 'I Ching' by Kim hang(金 恒) a scholar of Joseon(朝鮮) a former dynasty of Korea.
    When it comes to the basic structure of the study of changes, both 'I Ching' and 'Jeong Yeok' are academic systems that seek to identify the middle of road truth on heavenly way and personal relations. While heavenly way and personal relations are explained in the scope of heaven and earth, I Ching describes them by dividing into 'four images' and 'four virtues', and 'Jeong Yeok' into cosmology of four calendar changes and human history of world ideology.
    Confucius interpreted the way of changes in space perspective with emphasis on the practical life issues of human, so analyzed the theories of changes based on divinations.
    In the meantime, Kim hang explained the way of changes in the perspective of the existence structure of 'heavenly way itself' and life extension principles in all matters of human life, and thus emphasized time perspective based on four calendar changes in interpreting the theories of changes. Therefore, for faithful interpretation of the innate meaning of the study of changes, four images perspective will need be studied along with four images perspective.
    It is true so the study outcomes of Jeong Yeok have been poor compared with those of I Ching. This study, a study on changes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spiritual culture of the East is one of the efforts to interpret and clarify the innate meaning and efficiency of the study of changes by introducing and analyzing 'the mechanism of four calendar changes' which explores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time nature the ground of human existen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of mechanism of changes for Jeong Yeok will be utilized to extend the practical academic opportunities for 'advent of the post-heaven world' which is widely mentioned in the study of the E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