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てくれる/~てもらう」문의 사용상황 분석 - 한국어와의 대응관계를 통하여 - (Analysis of the Usage Contexts of “〜てくれる/〜てもらう” - Through the Correspondence with Korean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4.08
25P 미리보기
「~てくれる/~てもらう」문의 사용상황 분석 - 한국어와의 대응관계를 통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문학 / 106호 / 81 ~ 105페이지
    · 저자명 : 안선주

    초록

    本研究では、「~てくれる」と「~てもらう」がどのような認識の下で発話される表現なのか、その使用状況を、日韓の文学作品とその対訳を通じて考察した。 日本語では相手のある動作に対して自分自身と関連づけて考え、ひいてはそれをありがたく受け入れるということを「~てくれる」を以て表すということと、主語が省略されている文においてある動作が誰の行為なのかを明らかにさせるために「~てくれる」は必須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 「~てもらう」は、「~어 주다(EO-JUDA)」または「て」の前の動詞で述べられる状況で話手の視点から話す表現であり、韓国語母語話者には特に恩恵の授受の場面と認識されない状況でも相手の動作を話手自身と関連づけてそれによるありがたさを表しているものである。また、「~어 달라 하다(EO-DALLAHADA)」で表現される丁寧な依頼、「~하게 하다(HAGEHADA)」で文に現れる許可の場面でも「~てもらう」が使われるが、ここには丁寧でありながらも相手に負担を負わせまいといった思いやりが込めてある。また、主語の省略された文においてある動作が誰の行為であるかを明らかにさせる役割をも果たしている。 以上から、「~てくれる」「~てもらう」は、単なる恩恵の授受だけでなく、相手への配慮ひいては相手との円満な関係を思う認識の下で使われ、省略された主語を明らかにさせる役割をする、日本語特有の表現の一つだと言えそうである。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expressions “〜てくれる” and “〜てもらう” in terms of their usage contexts by analyzing Korean and Japanese literary works and their translations.
    In Japanese, “〜てくれる” indicates a speaker’s appreciation for an action performed by someone else in relation to himself, even in sentences where the subject is omitted.
    On the other hand, “〜てもらう” conveys the receipt of an action from the speaker’s perspective, revealing gratitude for the action related to the speaker, even in situations not specifically perceived as scenes of favor or kindness by Koreans. Moreover, it is used in situations of polite requests and scenes of permission, demonstrating consideration towards the other party without imposing undue burden. It also plays a role in clearly identifying the agent of an action in sentences where the subject is omitted.
    As seen above, “〜てくれる” and “〜てもらう” are not merely expressions of favor or kindness but are used under the recognition of fostering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others in Japanese discourse. They also serve the function of clarifying omitted subjects, making them unique expressions in Japanese language us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