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등록문화재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의 역사성에 대하여 (A Study on the Historicity of the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Yeongju Modern History and Culture Distric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3.06
29P 미리보기
등록문화재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의 역사성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역사회연구 / 31권 / 2호 / 185 ~ 213페이지
    · 저자명 : 송호상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등록문화재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가 가진 역사성을 규명하고자 함에 있다.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로 지정된 광복로 일대는 도로 및 철도교통의 발달을 배경으로 전개된 영주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핵심 공간이었다.
    영주는 일제 강점기 초기 예천과 상주를 거처 경부선의 주요 거점인 김천으로 가는 도로가 개통되었고, 1930년대 죽령 개통이후 충북과 경북 울진·영덕을 연결하는 도로가 개설되면서 주요 거점 도시로 성장하였다. 1941년 경경선의 개통은 영주 발전의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이를 통해 영주는 강원도와 경북 북부지역의 광산물과 임산물 수송의 요충지로 부각되었다. 그 결과 1940년 10월 1일 영주면에서 영주읍으로 승격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해당하는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에는 영주의 근대화와 관련된 건축물과 산업유산이 남아 있다. 이석간 고택이라고 알려진 근대 한옥과 더불어 철도관사, 영광이발관, 풍국정미소, 영주제일교회 등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영주의 근대화가 가진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오래된 마을의 변화를 간직한 근대한옥과 철도관사, 그리고 근대화를 배경으로 성장하였던 이발관, 정미소, 근대 교육과 문화활동의 중심 역할을 했던 영주제일교회 등의 역사성을 파악함으로써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istoricity of the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Yeongju Modern History and Culture District'. The Gwangbok-ro area, designated as the 'Yeongju Modern History and Culture District', was a key space to explore the daily life of Yeongju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at unfolded in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road and rail transportation.
    Yeongju grew into a major hub city after the opening of the road to Gimcheon, the main base of the Gyeongbu Line, in the early years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opening of Jukryeong in the 1930s, which connected Chungcheongbuk-do, Gyeongbuk-do, and Uljin-Yeongdeok. The opening of the Gyeonggyeong Line in 1941 was an important milestone in Yeongju's development. It highlighted Yeongju as a transportation hub for minerals and forest products from Gangwon Province and northern Gyeongbuk Province. As a result, Yeongju was promoted from Yeongju-myeon to Yeongju-eup on October 1, 1940.
    The 'Yeongju Modern History and Culture District', which lies at the center of these changes, contains architectural and industrial heritage related to the modernization of Yeongju. In addition to the modern Hanok known as Lee Seokgan's old hous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ailroad official residence, Yeonggwang barbershop, Pungguk rice mill, and Yeongju Cheil church was identified. Lee Seokgan's old house and the railroad residence preserve the changes of the old village, the barber shop and rice mill capture the context of modernization, and the Yeongju Cheil Church served as a center for modern educ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These architectural and industrial heritages demonstrate the significance of 'Yeongju Modern History and Culture Distri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역사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