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긴급체포 후 압수·수색의 요급처분 허용 여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Whether to Allow Urgent Disposition for Search and Seizure after Emergency Arres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2.09
29P 미리보기
긴급체포 후 압수·수색의 요급처분 허용 여부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61호 / 315 ~ 343페이지
    · 저자명 : 김민수

    초록

    형사소송법은 제216조와 제217조에서 영장에 의하지 않은 강제처분을 규정한다. 그런데 위 두 규정에 의한 압수·수색은 모두 영장을 발부받을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 긴급하게 이루어지는 것임에도, 요급처분에 관한 제220조는 제123조 제2항과 제125조의 적용을 배제할 수 있는 대상으로 제216조만을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제220조의 문언으로 인하여 제217조 제1항의 압수·수색에 제220조가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해석상 견해의 대립이 있고, 실무상으로도 혼란이 있다.
    제217조 제1항의 압수·수색에 요급처분이 허용될 것인지에 관하여는, 제220조의 문언에 따라 요급처분이 허용될 수 없다는 견해, 사후영장의 발부로 적법한 처분이 된다는 견해, 제217조 제1항에서 긴급성 요건과 시간적 요건을 두고 있으므로 요급처분이 허용된다는 견해가 있다. 실무상으로는, 특히 야간에 이루어진 제217조 제1항의 압수·수색에 관하여 검찰이 사후영장을 청구하고, 법원도 이를 엄격하게 심사하여 영장을 발부하고 있다. 대법원도 야간에 이루어진 위 압수·수색이 적법하다고 볼 수 있는 판결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 하급심에서 사후영장이 발부된 제217조 제1항에 의한 야간 압수·수색이 위법하다고 판단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해석상, 실무상 혼란을 해소하기 위한 해석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형사소송법 규정인 제220조와 제217조 제1항을 해석함에 있어서도 문언해석의 방법에 더하여 체계적·논리적 해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 규정의 입법 취지와 체계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면, 제217조 제1항에 제220조가 준용된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 즉, 제217조 제1항은 증거인멸 등에 긴급하게 대응하기 위한 규정이고, 제220조는 위와 같은 긴급한 압수·수색의 경우 따르기 불가능한 절차 규정의 적용을 배제하기 위한 규정인데, 제217조 제1항 자체에서 긴급성의 요건과 시간적 요건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제220조를 제217조 제1항에도 준용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석함으로써 요급처분으로 이루어진 제217조 제1항의 압수·수색이 위법하다고 전제하는 사후추인설 등 다른 견해가 갖는 법리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실무상의 혼란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수사상 강제처분의 절차에 관한 규정은 법률에 명시적으로 규정되는 것이 타당하므로, 제220조에 제217조 제1항의 처분을 포함시키는 법률 개정을 보충적으로 제안한다.

    영어초록

    Articles 216 and 217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 for compulsory dispositions without warrant. However, although the seizure and search pursuant to the above two provisions are urgently carried out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time to obtain a warrant, Article 220 that can exclude Articles 123 (2) and 125 refers only to Article 216(Article 217 is not mentioned). Due to the wording of Article 220, there is a conflict of opinion in interpretation as to whether Article 220 can be applied to the seizure and search of Article 217 (1), and there is confusion in practice.
    There are three opinions as to whether the seizure and search of Article 217 (1) is permitted as an urgent disposition: the first view is that urgent disposition cannot be permitted according to the words of Article 220; the second view is that the issuing of an ex post warrant will result in a legal disposition; and the third view is that urgent disposition is permitted because Article 217 (1) stipulates urgency and time limit. In practice,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seizures and search under Article 217 (1) carried out at night, a prosecutor requests an ex post warrant and a judge issues it. The Supreme Court also ruled that the seizure and search executed at night under Article 217 were lawful. However, the court of the first instance recently judged that the nighttime seizure and search pursuant to Article 217 (1), for which an ex-post warrant was issued, was illega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eory of interpretation to resolve such confusion in interpretation and practice.
    In interpreting Articles 220 and 217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 systematic and logical interpretation method can be applied in addition to the verbal interpretation method. If we comprehensively interpret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relevant regulations and the system of regulations,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that Article 220 applies mutatis mutandis to Article 217 (1). Article 217 (1) is a regulation to respond urgently to the destruction of evidence, and Article 220 is a regulation to exclude restrictions that cannot be followed in the case of urgent seizure and search, and Article 217 (1) also requires urgent circumstances and time restriction. Therefore,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rticle 220 can be applied mutatis mutandis to Article 217 (1). By interpret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theory of law held by other views, such as the post-approval theory, which presupposes that the seizure and search under Article 217 (1) is illegal, and it can also solve the confusion in practice.
    However, since it is reasonable to explicitly stipulate the provisions of the compulsory disposition in the Act, I propose to amend the Act to include the disposition under Article 217 (1) in Article 22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