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재판에서의 가처분 - 최근 입법논의와 관련하여 - (Interim Remedies in Constitutional Trials - in relation to reviewing the recently proposed draft legislations -)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0.09
45P 미리보기
헌법재판에서의 가처분 - 최근 입법논의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13호 / 137 ~ 181페이지
    · 저자명 : 이준상

    초록

    현행 헌법재판소법은 정당해산심판과 권한쟁의심판에 대하여만 가처분조항을 두고 있을 뿐 그 이외의 다른 심판절차에 대하여는 가처분 조항을 두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헌법재판소는 2000. 12. 8. 사법시험령사건 관련 가처분사건(2000헌사471)에서의 결정 이후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의 권리구제형 헌법소원 사건에서 가처분이 가능하다고 판시하여 오고 있다.
    위와 같은 헌법재판소의 태도는 가처분제도의 헌법적, 법적 근거가 없고,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에서 가처분결정의 효력이 위헌결정과 유사한 기속력을 가질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많다.
    한편, 가처분 조항의 입법불비와 관련하여 현재 국회에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에 가처분 조항을 신설하는 내용의 입법안이 상정되어 있고, 약 10년 전에 한국공법학회가 모든 심판절차에 적용될 수 있는 가처분에 관한 일반조항을 신설하는 내용의 입법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입법안들을 검토함으로써 헌법재판에서의 가처분 논의를 접근하여 보면, 먼저 위 입법안들에서의 가처분조항이 법령의 효력정지나 적극적인 잠정조치를 명하는 것까지를 포함한다면 헌법재판소법의 관련 규정들이나 헌법상 권력분립의 원칙에 반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가처분의 일반조항 혹은 법령에 대한 효력정지를 내용으로 하는 가처분 조항은 독일외의 국가에서 찾아보기 어려운데, 독일의 경우에는 독일연방헌법재판소가 사법의 정점에 있고 매우 포괄적인 권한을 갖고 있으며, 또한 독일만의 특수한 역사적 환경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위와 같은 규정이 탄생할 수 있었다고 보이나, 우리의 제도나 역사적 환경은 매우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법령에 대한 효력정지는 사실상 본안결정을 선취하는 효과가 있어 가처분제도의 본래의 속성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위헌결정의 효력시기를 가처분결정시로 소급시키는 효력이 있어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의 규정에 반하고, 위헌결정정족수에 미달하는 정족수로도 가처분결정이 가능하여 헌법 제113조 제1항 위반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나아가 법령의 효력 정지와 함께 잠정 적용법령을 정하게 되면 이는 입법권을 침해하게 되는 것이고,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에서 재판의 중지를 명하는 가처분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이는 재판이 정지되지 않도록 규정한 헌법재판소법 제75조 제7항 등의 관련 규정에 반할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는 사법권을 침해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위의 개정시안들을 그대로 도입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하고, 특히 가처분 일반조항을 도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에 가처분조항을 도입하더라도 적어도 그 대상에서 법령을 제외하거나 그 권한에서 적극적인 처분이나 명령을 내릴 수는 없다는 예외조항을 두는 등으로 제한하여 헌법질서에 정합적인 형태로 탄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the “Act”) provides for interim remedies or preliminary injunctions only in the cases of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and jurisdictional disputes. Nevertheless, since the decision over Judicial Examination case(2000 Hun-Sa 471) delivered on December 8, 2000,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e “Court”) has issued a series of decisions that the Court is empowered to grant an interim remedy in constitutional petitions pursuant to Section 68.1 of the Act.
    Thus, the Court deserves some criticism, in that interim remedies still have no clear constitutional or legal grounds, and in that it is unclear whether interim remedies in constitutional petitions concerning laws and regulations have similar binding force as the Court's final decision of nonconformity to the Constitution.
    Recently a bill for amendment to the Act which allows interim remedies only in constitutional petitions related to Section 68.1 of the Act has been laid before the National Assembly, and approximately 10 years ago the Korean Public Law Association proposed a draft legislation to allow interim remedies in all constitutional cases.
    Above all, it would be against the provisions of the Act or the doctrine of separation of powers, if the above-mentioned bill or draft legislation provides that the Court could grant a stay of laws or order an active interim measure.
    Further, it is hard to find out laws of any other countries that contain general provisions of interim measures or special provisions of interim measures for a stay of law, except for the law of Germany. However, the German constitutional system needs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Korean constitutional system, in that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is the highest court in the judicature of Germany and has much broader power, and in that special historical backgrounds exist just in the case of Germany.
    Moreover, interim measures for a stay of laws may be equivalent to a prior decision of nonconformity to the Constitution,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interim measures. And such interim measures may have much greater retroactive effect, as compared to an ordinary final decision concerning unconstitutionality, given that, by court’s order of such interim measures, the later decision concerning unconstitutionality can actually take effect as of the date of such court order, the result of which is not consistent with the Section 47.2 of the Act. Also, it could be contradictory directly to the Section 113.1 of the Constitution providing for the quorum requirement, because, under the proposed bill or draft legislation, a preliminary injunction for a stay of laws may be decided by justices less than a quorum (i.e., 6 justices).
    Furthermore, an interim remedy like a temporary ruling along with a stay of a law would infringe legislative power and, if also allowed in a constitutional petition made pursuant to the Section 68.2 of the Act, a stay of a related trial would not only contradict relevant provisions of the Act (i.e., 75.7) and but also fundamentally infringe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Therefore, in this regard, it is undesirable to introduce the general provisions of interim measures, so by adopting additional provisions that prevent the Court from issuing a stay of laws or an active interim measures, the proposed draft legislations need to be reconsidered and revised to the effect that allowing interim measures under the Act must be limited to a reasonable extent in light of the constitutional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