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模寫圖의 가치와 활용에 대하여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Copies of Mural Paintings at Goguryeo Tombs in North Kore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8.08
42P 미리보기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模寫圖의 가치와 활용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29호 / 469 ~ 510페이지
    · 저자명 : 박윤희

    초록

    분단 후 70여년이 지난 지금, 남북이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인식과 간극의 차이 또한 매우 크다.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 북한은 인민을 교화 선전하는 수단으로 문화유산을 적극 활용하였다. 북한은 해방 이후부터 월북화가들을 중심으로 고분벽화 모사에서 출발해 현재까지 창작사 소속 미술가 집단을 중심으로 문화재의 모작과 복원을 활발히 하고 있다. 남북 간 문화재 개념의 시각차를 이해하고 통일시대 문화재 분야의 보존에 대한 준비를 위해서는 북한의 미술품 모사 개념의 발단이라고 볼 수 있는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의 전통과 성격에 대하여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해방 이후 북한지역의 고구려 벽화고분 발굴과 모사도 제작의 시작은 1949년 발굴된 안악1~3호분이며, 이는 고구려 벽화고분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벽화 모사는 계속해서 훼손이 진행될 수밖에 없는 고분의 특성상, 발굴 당시 原畫의 상태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모사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초창기 북한에서 모사도 제작에 참여한 인물은 월북화가 출신의 정현웅과 손영기였으며, 1952년부터 안악3호분을 비롯한 다수의 고구려 고분벽화의 모사도를 제작하였다. 現狀模寫의 방식으로 그린 모사도는 일제강점기 오바 스네키치(小場恒吉)가 제작한 모사도에 비해 매우 정교하게 기록되어 있어 원천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흑백사진, 유리건판 등에서 설명되지 못하는 벽화 고유의 색채는 물론 긴 세월에 걸쳐 진행된 벽화의 박락과 오염상태 등을 생생하게 기록한 모사도는 이후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의 범본으로서 활용되었다.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는 문화재 원형 기록이라는 목적 외에도 해외 선전용으로 재생산되었다. 1952년 헝가리 전시를 비롯해, 다수의 해외 전시를 위해 집체화 제작 형태로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수십 기의 모사도가 제작되었다. 1985~1987년 일본 순회전시 뿐 아니라 1990년대~2000년대 초 한국에도 북한 화가들이 제작한 모사도가 전시된 바 있다. 북한에서 고구려 벽화의 해외전시와 대중전시에 적극적인 이유는 정권의 역사적 정통성을 가시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북한 고유의 역사가 아니라 한민족의 고대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인식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도 가져왔다.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는 시기별 벽화의 상태 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록물이자 문화재 복원을 위한 원천 자료가 되며, 나아가 전시 및 교육용으로 활용가치가 높다는 점에서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계승해나가야 하는 현대인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준다.

    영어초록

    Jeong Hyeon-ung (1911–1976) and Son Yeong-gi (1921–?), two painter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participated in the initial projects of reproducing tomb mural paintings in North Korea. On two occasions, once in 1952 and again between 1962 and 1963, they copied mural paintings at several Goguryeo tombs, including Anak Tomb No. 3. The reproductions by Jeong and Son abided by the principle of copying the present state (現狀模寫) and took on great significance a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since they recorded damage to the murals more elaborately than had Oba Tsunekichi(小場恒吉, 1878–1958). The early copies of tomb mural paintings vividly documented the innate colors within the mural paintings that could not be represented in black and white photos or dry plate glass negatives. They also present the flaking and contamination that developed over the centuries. These copies were used as prototypes for later reproductions of Gogoryeo tomb mural paintings in North Korea. So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North Korea worked to excavate ancient remains and produce copies of mural paintings as part of its efforts to demonstrate its historical legitimacy. Beginning in the 1970s, North Korea reproduced mural paintings from tombs located in Jilin, China using photographs taken on-site were used.
    North Korea produced copies of Goguryeo tomb mural paintings not only as records of original cultural assets, but also for international publicity. Dozens of mural copies that required a great deal of resources were collectively produced for display at several overseas exhibitions, including one held in Hungary in 1952. The reproduced murals were included in traveling exhibitions in Japan from 1985 to 1987. Moreover, in the 1990s and early 2000s, copies created by North Korean painters were exhibited in South Korea as well. North Korea appears to have promoted these overseas and public exhibitions of Gogoryeo mural paintings as a means to illustrate its historical legitimacy. This resulted in the positive outcome of shedding light on both North Korea’s history and the value of the ancient cultural heritage of the Korean people. The reproductions of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tombs in North Korea transmit an important message to the modern people who inherit and preserve cultural heritage since they serve as crucial records informing about the periodical changes in mural painting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for use in restoring cultural assets, and precious institutional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