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리악과 사르트르 - 문학 논쟁의 의미와 전망에 대하여 (Mauriac and Sartre - meaning and prospect of the literary argumen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7.12
29P 미리보기
모리악과 사르트르 - 문학 논쟁의 의미와 전망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문학비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문학비교연구 / 61호 / 149 ~ 177페이지
    · 저자명 : 김모세

    초록

    사르트르(J. P. Sartre)는 1939년 2월 N.R.F.지에 실린 “프랑수아 모리악 씨와 자유”라는제목의 비평 기사에서 모리악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문제의 기사에서 사르트르는 우선 소설 속 인물들, 특히 테레즈라는 인물의 자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나아가 그는 소설가의전능성, 신의 모방자로서의 작가의 지위를 문제 삼는다.56)57) 이와 같은 사르트르의 비평은 무엇보다 자신의 실존주의적 사상에 근거하고 있는 것으로보인다. 사르트르의 실존주의에서 인간 존재는 완전한 ‘자유’를 속성으로 한다. 또한 인간은의식의 주체로서 존재하건 아니면 타자의 대상으로 존재하건 둘 중 하나일 수밖에 없다는것이 사르트르의 주장이다. 인간의 ‘자유’와 ‘주체성’에 대한 철학적 사유가 모리악의 문학에 대한 비판에 그대로 적용된 것이다. 반면, 기독교인이었던 모리악이 바라볼 때 소설가란, 마치 신이 인간을 창조한 것처럼, 인물들에게 삶을 부여할 수 있고, 살아있는 존재들을 창조할 수 있어야 한다.
    작가와 인물의 자유와 관련해 대립되었던 사르트르와 모리악의 문학은 ‘독자’의 개념을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사르트르는 ‘문학을 통한 구원’을 주장했다.
    이것은 곧 ‘대자-즉자 존재’의 가능성을 의미하며, ‘신이 되고자 하는 욕망’으로 연결된다.
    작가가 써 놓은 작품을 독자들이 읽을 때, 독자들은 그 작품을 해석하고, 그런 작가가 있었다는 것을 기억해준다. 그 순간 작가는 의식의 주체이면서 동시에 대상으로 존재하게 되고, 문학을 통한 구원이 실현된다. 모리악은 ‘신의 대리자’ 혹은 ‘매개자’로서의 작가의 역할을강조함과 동시에 “글쓰기의 목적은 잊혀지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모리악과사르트르의 문학 논쟁을 통해 우리는 창조자로서의 작가의 권위와 인물의 자유, 나아가독자의 자유를 함께 인정하는 문학의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French writer Jean-Paul Sartre mounted a scathing attack on his contemporary writer François Mauriac in his essay François Mauriac and Liberty, which peared in La Nouvelle Revue Française in February 1939. Sartre's primary target was he novel La Fin de la Nuit (the End of the Night), the final piece of Mauriac's eries of works featuring his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 Thérèse Desqueyroux.
    Sartre began the critical essay by pointing out the lack of liberty in the racters of the novel, particularly Thérèse. He then went on to challenge, albeit indirectly, the novelist's omniscience and omnipotence, and even the existence of God. Sartre's next focus was the issue of the changing point of view in the novel. Sartre wrote, "The novelist may be either their witness or their accomplice, but never both at the same time. The novelist must be either inside or out." Mauriac shifted the point of view several times in Thérèse Desqueyroux and La Fin de la Nuit, yet Sartre believed the strategy is not suitable for a fictional work, calling it the "see-sawing [...] from Thérèse-subject to Thérèse-object". Sartre's disagreement with the technique, in essence, comes out of his belief that shifting points of view inevitably presuppose the writer's intervention. Objectifying a character through the voice of an omniscient writer, just like what Mauriac did, goes against Sartre's fundamental emphasis on human existence as a "being-for-itself" (être-pour-soi) who is aware of his own freedom.
    It appears that Sartre's criticical examination of Mauriac's work is, above all, based on his existentialist philosophy. Sartre assumes the absence of God as the basis of his thoughts and, as a consequence, he argues that liberty is a unique potentiality of human existence by its very nature. Also, according to him, humans have only two options between existing as a subject or as an object to be used by others. Then it comes as no surprise that Sartre's criticism of Mauriac's literary work well reflects his philosophical idea of human beings' liberty and subjectivity. Mauriac was a Christian and therefore held opposing views from those of Sartre. According to Mauriac, a novelist should be able to create living characters just as God created humans.
    In conclusion, the thesis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similarities between the literary works of the two French authors. Sartre calls for salvation through literary creation. This translates into the possibility of "being-for-itself-and-in-itself" (être-pour- soi-en-soi) which, in turn, is linked to the desire to become God. When readers read a writer's work, they interpret it and remember that the author existed. The moment this happens, the writer becomes the subject and object of 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realising salvation through literature that Sartre advocates. Mauriac also viewed writers as an agent of God and argued that their role is to direct characters towards Him. In this sense, Mauriac's literary works that Sartre criticised may actually represent the hidden aspect of the literary ideal that Sartre sought to pursue. The thesis concludes with the anticipation that the two writers' literary debate will shed light on the possibility of the literature that recognises the authority of a writer as a creator, characters' freedom, and readers' freedom, all a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문학비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