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테오리아theoria의 변모와 미술관 속성에 관하여 (La theoria et l’émergence de l’institution muséa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08.08
22P 미리보기
테오리아theoria의 변모와 미술관 속성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42호 / 213 ~ 234페이지
    · 저자명 : 장지욱

    초록

    ‘테오리아’의 본래적 의미는 진리의 나타남을 응시하는 것이었다. 즉, 존재의 드러남을 증거함으로써 그 사건에 동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본래적 의미는 변모되어 보는 행위는 앞에 놓여진 세상을 측정하고 이해하여 종국에는 관리하고 지배하는 ‘원리’ 혹은 ‘이론’으로 그 속성을 달리하게 된다. 그것은 존재차원의 보는 행위가 인식의 질서 속으로 종속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정의 연장선 위에 본고는 근대적 개념의 미술제도권 발생 과정에서 발견되는 도서관-지식의 틀 차용 현상과 근대 이후 미술박물관의 전시를 통해 발생되는 가치의 뒤바뀜 현상을 예증함으로써 미술관 구성 조건의 토대를 검토하려 한다.

    영어초록

    Il peut sembler évident que l’émergence de l’institution muséale représente un
    enjeu esthétique majeur-les musées de peinture-dans le contexte historiquement
    moderne, qui a pour vocation essentielle d’assurer dans une tradition de la
    philosophie des Lumières, un humanisme esthétique universel. Mais cet éclairage
    des oeuvres d’art, ce vouloir mettre les oeuvres d’art à la lumière n’en est
    devenu que plus problématique quand il s’agit d’en faire le déplacement ontologique
    du champ de ce qu‘on appelle voir.
    Dans le cadre social le rôle principal du musée consiste à apprendre à lire
    l’art hérité et l’art en train de se faire. C’est parce qu’il est conçu pour
    apprendre “l’histoire visible de l’art”, qu‘il peut donc être organisé selon le
    système des bibliothèques dans lequel s’est glissée la théorie de la connaissance.
    On assiste donc à l’élaboration d’un projet qui vise à une certitude rationnelle,
    ce qui revient à mettre en oeuvre une ob-jectivation radicale de l’art. Cette
    objectivation qui interprète d’emblée l’art comme un objet de conaissance ne
    caractèrise alors rien de moins que le pouvoir de la métaphysique de la volonté.
    Le sens originel de la theoria est à comprendre à partir du fait de voir la
    chose dans son apparaître, comme un témoignage de sa venue au monde. C’est,
    en bref, contempler l’apparition de la vérité, l’action réelle de la praxis elle-mê
    me. Pourtant la theoria, théorie d’aujourd’hui, ne remplit plus cette fonction: elle
    ne contemple plus la vérité, elle ne participe plus au moment même de
    l’apparition. Elle vise maintenant à subsumer en elle ce qui lui est présenté.
    C’est ainsi qu’elle fait de tout ce qui est un objet, qu‘elle l’interprète et le
    mesure, et finalement le domine. Théoria s’altère: l’ontologie de l’apparaître se
    sacrifie au profit de l’ordre de la connaissance. Et il en résulte la théorie.
    Notre thèse dévoilerait ainsi cette mise en opération de la theoria à travers
    laquelle l’institution muséale devient un substitut à l’epstêmê.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