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면제의 기준 -면제의 제한과 관련하여- (Criteria for the State Immunity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Limitation on the State Immunity)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09.04
53P 미리보기
국가면제의 기준 -면제의 제한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법평론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평론 / 29호 / 29 ~ 81페이지
    · 저자명 : 김석현

    초록

    오늘날 국가의 활동이 그 고유의 기능인 주권행위, 즉 공권력행사에 머물지 않고 상거래 활동 등 사법적 영역으로까지 확대됨에 따라, 국가면제는 상대적 개념으로 전환되게 되었다. 즉, 주권행위와 관계없는 외국의 행위와 재산에 대해서는 관할권면제를 인정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상대적 면제 자체는 일반국제법의 규칙으로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그 구체적 기준은 아직 정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면제의 제한과 관련한 기준에 있어서는 국가들의 실행이 일치하지 않고 있으며, 1972년 유럽협약과 2004년 UN협약 등 이 분야의 국제협약들이 이와 관련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들 협약에 대한 국가들의 지지는 극히 미미한 상태이다.
    그러나, 국가들의 입법 및 사법 실행을 검토할 때 어느 정도의 공통된 기준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재판관할권면제의 기준은 문제의 행위의 성질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법정지국 내에서 외국은 주권행사로서 취해진 행위와 관련해서만 재판관할권면제를 부여받아 왔던 것이다. 그리고 외국의 재산에 대한 집행면제의 기준은 그 재산의 사용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즉, 비상업적 목적의 외국 재산에 대해서만 강제집행의 면제가 인정되어 온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국가면제의 제한의 배경 및 필요성을 언급한 후, 그러한 제한을 위하여 제시되어 왔던 기준들을 검토한다. 이어서, 19세기 후반 이래 각국의 입법 및 사법 실행에서 국가면제의 제한을 위해 채택되어 온 기준들을 비교 검토한다. 그리고 1972년 유럽협약 및 2004년 UN협약에서 제시된 국가면제의 기준들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국가들의 실행과 국제입법에서 제시된 기준들을 종합적으로 비교 평가한 후, 국가면제 제도의 본질적 취지를 고려하여 이 분야에 일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기준을 파악함과 아울러 그 적용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 문제점들을 검토한다.

    영어초록

    The immunity of States has been changed into a limited concept, according as the activities of States have expanded from their intrinsic sphere, the exercise of governmental authority, to those of the commercial field traditionally performed by private actors. That is, States have shown a tendency not to grant jurisdictional immunity to foreign States, when their acts or properties have not been related to sovereign activities. It might be said that, nowadays, even if the limited or restrictive immunity of the State itself has been established as a rule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the concrete criteria have not yet been laid down. We could not see a uniformity of State practice concerning the criteria of the restriction of State immunit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in this field, namely the European Convention of 1972 and the UN Convention of 2004, which present standards for State immunity, are supported only by an insignificant number of States.
    Nonetheless, we could extract some common criteria for this purpose from the legislative and judiciary practice of States and international legislation. As for the immunity of foreign States from the jurisdiction of forum State, the criterion would be the nature of the act in question: immunity from jurisdiction has been granted to a foreign State only for its acts taken as the exercise of sovereign power. On the other hand, the immunity of the property of foreign States has been allowed on the basis of purpose of use of the property: the property has been exempted from forced execution of the forum State when it has been possessed by the foreign State for use for non-commercial purposes.
    This study starts by mention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actual necessity of the restriction of the State immunity. Secondly, this paper examines the criteria which have been adopted by the practice of principal States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for the restriction on the State immunity. Thirdly, we examine the criteria provided by the European Convention of 1972 and the UN Convention of 2004. Lastly, comparing the criteria presented by State practice and international legislation, and considering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regime of State immunity,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standards which should generally apply to State immunity. Attention is given to actual problems which could occur in the application of those criteria.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