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이오에너지 개발과 학문 융합 문제에 관하여 (On Development of Bioenergy and Convergence of Academic Discipline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3.12
46P 미리보기
바이오에너지 개발과 학문 융합 문제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철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철학 / 16호 / 189 ~ 234페이지
    · 저자명 : 오영진, 안원근

    초록

    화석연료와 핵에너지 등 기존 에니지원의 무분별한 사용은 국제적 갈등과 환경 위기를 초래했다. 이러한 위기의 근원은 인간과 자연을 주로 착취의 수단으로서 바라보는 도구적이고 계산적인 사고방식에 있다. 따라서 대체 에너지의 개발과 학문 간의 협력에 관한 논의의 기본 전제는, 대안적 에너지원을 개발함으로써 현재의 난국을 극복하는 일은 단지 기술적 수준의 노력만으로 달성될 수 없으며 인간과 자연에 대한 우리의 접근방식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인식이다.
    한국적 학문 통합론의 배경이 된 미국과학재단의 NBIC 학문 수렴 시나리오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기술적 통제의 강화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17세기 베이컨 이래의 과학적 낙관주의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것은 유전자 조작과 첨단무기의 개발을 통한 경제적, 국가주의적 지배력의 확보라는 동기를 보여준다. 유럽연합의 CTEKS 학문 협력 모델은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맥락에 대한 자각을 좀 더 담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이슈가 된 학문의 ‘융합’론이나 통합론은 주로 산업적, 경제적 동기에 의해 추동된 것으로서, 과학이 주도하는 학문의 통합론이며 NBIC 시나리오를 모델로 하고 있다.
    ‘두 문화’ 논쟁에서 C. P 스노우는 선진산업사회의 진보를 이끌어온 것이 과학이기 때문에 과학이 학문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견해는 과학과 기술공학이 범한 심각한 인간적, 환경적 과오를 간과하고 있다. 리비스는 이러한 과학 중심의 전망에 내재한 명백한 한계를 지적한다. 세계가 처한 곤경의 해결을 위한 우리의 노력은 인간의 삶의 의미와 목적에 관한 역사적, 철학적 성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러한 점은 물질적 진보와 기술공학의 시대에 갈수록 망각되고 있다.
    에드워드 윌슨과 최재천 교수가 부각시킨 ‘통섭’론은 인문학을 생물학과 유전학을 중심으로 한 과학에 종속시키고자 하는 주장이다. 윌슨의 관점은 생명과 문화를 DNA와 같은 기본적 요소로 환원시키는 환원주의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인간적, 생태적 맥락에서 절연된 이 환원주의적 사고와 과학중심의 공리주의야말로 인간사회와 자연에 가장 심각한 문제를 야기해온 것이다. 상이한 학문 분야 간의 협력관계가 결실을 맺으려면, 현재의 위기가 단지 학문의 위기라기보다는 인간과 생명의 위기라는 인식의 중요성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대체 에너지의 개발은 그러한 노력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의 감수성과 직관적 이해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의 개발을 위한 다양한 학문 분야의 협력은 종적인 것보다는 횡적이고 개방적인 네워크에 기초한 것이어야 하며, 지구상의 모든 존재의 공생이라는 맥락에서 특정 연구 주제와 프로젝트를 위해 가장 적절한 방법과 형태의 제휴 방안을 찾아나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discriminate use of the existing energy sources―fossil fuels and nuclear energy―has led to international conflicts and environmental crisis. The roots of the crisis lie in instrumental and calculative thinking that sees man and nature mainly as a means for exploitation. Therefore, the basic premise for our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and the collaboration among academic disciplines must be that overcoming the present predicament by developi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cannot be achieved through efforts on the technological level alone, but should be accompanied with changes in our approach to man and nature.
    The NBIC scenario for converging sciences which provided a model for the discourse on integration of academic disciplines in Korea, seeks to strengthen technological control of humanity and the world. Hence, it is along the same lines as the scientific optimism since Bacon in the 17th century. It shows its motives of economic and nationalistic domination in its intention of ‘total control’ even through genetic manipulation and development of high-tech weapons. In comparison, the CTEKS model of convergence gives more consideration to social responsibility and ethical context of technology. The recent discourse on the ‘convergence’ or integration of sciences in Korea is a discussion of integration of academic fields led by science, largely driven by industrial and economic motivations.
    In the ‘Two Cultures’ debate, C. P. Snow argued that science should be the center for the academia and culture since it was leading the progress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ies. But this view disregards serious human and environmental blunders induced by science and technology. Leavis points out the obvious limitations inherent in the science­centered outlook. Our effort to solve the predicaments of the world is closely related to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meaning and purpose of human life, which is increasingly being forgotten in the age of material progress and technology.
    The discourse of ‘consilience’ publicized by Edward O. Wilson and Jae-Chun Choe is an argument to subordinate humanities to sciences centered on biology and genetics. Wilson’s perspective is not far from reductionism that reduces life and culture into basic elements such as DNA. But this reductionist thinking and science­oriented utilitarianism divorced from human and ecological context have caused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society and nature. For fruitful partnerships across different areas of study, there should be a broad agreement on the importance of the perception that the present crisis is less of (academic) learning than of humanity and life as a whole.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largely depends on our sensibility and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such effort. Therefore, the cooperation among various fields of learning for developing renewable energy sources should be based on a horizontal and open­ended network of disciplines, rather than vertical one so that we can work out the most relevant methodologies and forms of alliance for specific research topics and projects within the context of the whole life on the glob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