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인도(太仁島)의 ‘김양식(-養殖)’에 관하여 (A Study on the 'Laver Farming' of Taein-do(isla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3.08
31P 미리보기
태인도(太仁島)의 ‘김양식(-養殖)’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전남대 어문논총 / 43호 / 311 ~ 341페이지
    · 저자명 : 박종오

    초록

    김[海衣]을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삼국시대 해조류를 채취했다는 기록을 보면 그 식용의 역사는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지금도 김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소비된다.
    우리나라 최초의 김양식지로 알려진 태인도는 광양만에 있는 작은 섬이다. 이곳은 김의 생육에 적합한 곳이어서 일찍이 김양식이 성행한 곳이었다. 김여익은 광양 태인도에 거주하면서 처음으로 김을 양식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다. 일제 강점기에 작성된 기록이나 이 지역에서 전해오는 옛날이야기에도 이러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광양의 용지마을을 비롯한 태인도 주민들은 오랫동안 어업에 종사해 왔다. 이 지역에서 김양식장은 서로 매매가 가능한 개인 자산으로도 인정되었다. 1982년에 광양제절소가 들어오면서 대규모 간척사업과 연륙교 공사가 끝난 뒤 김을 양식했던 갯벌은 사라졌고, 더 이상 어업에 종사할 수도 없게 되었다.
    태인도의 용지마을 마을 주민들은 ‘줄다리기’ 복원을 통해 김양식에 관한 기억을 소환하고 있으며, 김양식 관련 전승지식과 경험을 다양한 사업에 활용하고 있다.

    영어초록

    It is not known when you started eating Laver. However, there is a record of collecting alga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From th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history of eating Laver has been long. Even now, Laver is manufactured and consumed in various ways.
    Taeindo(Island), known as Korea's first seaweed farm, is a small island in Gwangyang Bay. This is the right place for seaweed to grow. That's why laver farming has been going on for a long time. Kim Yeo-ik is an indispensable figure in relation to Taeindo(Island) laver farming. He lived in the Taein-do, Gwangyang, and cultivated seaweed for the first time. These are included in the records record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n the old stories handed down in this area.
    The people of the Taeindo(Island), including Yongji Village in Gwangyang, have been engaged in fishing for a long time. In this area, seaweed farms were also recognized as personal assets that could be bought and sold to each other. However, the situation changed when Gwangyang Steelworks was built in 1982. After a reclamation project and bridge construction, the mudflats that were cultivated for laver disappeared.
    Residents of Yongji Village in Taeindo(Island) are recalling memories of laver farming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Juldaligi(tug-of-war)" and residents of Taeindo(Island) are using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of laver farming for various pro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남대 어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