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창기 『한글』지의 지명 자료에 대하여 (On the Place Name Data from the Early Hangul Magazin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0.12
60P 미리보기
초창기 『한글』지의 지명 자료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33권 / 149 ~ 208페이지
    · 저자명 : 김정태

    초록

    본고의 고찰 대상은 1930, 40년대 『한글』지에 실린 1,783개의 지명 자료들이다. 이들을 중심으로 각 지명의 구체적인 지역과 조사자, 그리고 지명 자료들을 분석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는 1,783개의 지명 자료들이 어떤 특징과 가치를 갖고 있는지 규명코자 하였다.
    먼저 지명 자료들이 소재한 지역은 주로 市/郡 단위인데, 남한, 북한 전역에서 조사된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지명의 조사자는 ‘한징, 이상인, 최상수, 장성균’ 등 조선어학회 임원 및 회원들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선말 지명 수집 홍보 문안에서 ‘現 地名 漢字를 반드시 對照하여 주시오.’라고 한 것을 실행할 인사임을 고려하면, 지명 자료의 조사자는 조선말 연구자 또는 조선어학회에서 우리말글 운동을 하는 해당 지역의 관련 인사요, 지식인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은 1,783개의 지명 자료들이다. <표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대체적으로 유형화된 속성지명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후부지명소의 형태와 특징을 분석해 낼 수 있다.
    그리고 『한글』에 실린 지명 자료에서 중요한 부분은 전래 지명에 대한 한자어화된 지명의 병기이다. 전래하는 고유의 지명에 대해 한자어화된 지명을 병기한 것은 근원적인 형태와 의미를 재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전통적인 차자표기의 방식이 사용된 것인데, 전래 지명과 한자어화 지명의 대응을 통해 지명소의 형태와 의미를 분석해 낼 수 있고, 한자어화의 방법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원문 전사의 어려움으로 인한 표기 혼란의 문제와 지명 자료의 불완전한 정보, 그리고 오기의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1930, 40년대 『한글』지에 실린 지명 자료들은 당시의 전래 지명에 대한 연구의 훌륭한 자료였다. 뿐만 아니라 전래 지명의 발달사에 있어서 중간 자료로서의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즉 이른 시기의 『호구총수(1789)』나 1910년대『조선지지자료(1912?)』와『한국지명총람(1978)』지명 자료의 중간 자료로서, 지명 언어의 변화 등 일부 통시적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특징들을 확인하기 위해,『한글』제5권 제9호(1937.10)의 경북 안동 지명을 예로 하여 구체적인 실제를 보였다.

    영어초록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1,783 place name data from the Hangul magazine published in the 1930s and 1940s. This study analyzed the specific regions of each place name, the investigators, and the place name data.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the place name data.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lace name data mostly concerned the city and gun level regions and included the place names of various regions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board members and general members of the Joseoneohakoe were the main investigators of the place names. The promotional material for the collection of Korean place names, which stipulated that investigators “compare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current names of the places,” showed that the investigators were most likely Korean linguists, related personnel or scholars who were engaged in the Korean language movement led by the Joseoneohakhoe.
    What was important was the 1,783 place-name data. A place name generally consists of a front place name morpheme and a back place name morpheme. The back place name morpheme signifies the attribute, that is, the type of the place name. As shown in <Table 1>, the data is generally categorized, which allows the analysis of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ck place name morphemes. In addition, place names are also required to have origins as they are helpful information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front place name morphemes. Although there were a few, there was some place-name data with information on their origins.
    In addition, the place name data in the Hangul magazine were significant as it also included the Sino-Korean versions of the traditional place names. The Sino-Korean place names were created through the traditional way of borrowing characters. By corresponding the traditional place names with the reorganized Sino-Korean place names, this study analyzed the forms and meanings of the place name phonemes and identified how the place names were converted into Chinese characters.
    Despite the inconsistent notation due to the difficulty of transcribing the original text, the incomplete information of the place name data, and the issue of typographical errors, the place name data published in the Hangul magazine from the 1930s to the 1940s served as valuable data for research on the place names of the era. The data was also expected to serve as interim data for the history of traditional place names. That is, the Hangul data follow Hoguchongsu (1789) and the Joseonjijijaryo (1912?) from the 1910s, while preceding the Hangukjimyeongchongram (1978), thereby serving as interim data for diachronic research on topics such as the linguistic changes of place names.
    To verify such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d on specific place names of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from Hangul Vol.5 No. 9 (October 1937).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data could be used to compare and determine the location of each place name and contribute to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study of place names, thus serving as valuable data for traditional place-nam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