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법상 유추의 可否에 관하여 (Whether Analogy is allowed under the Tax Law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1.05
55P 미리보기
세법상 유추의 可否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세법연구 / 17권 / 1호 / 121 ~ 175페이지
    · 저자명 : 이재호

    초록

    세법상 유추가 가능한가? 형법상 유추금지원칙과 같은 논증구조로 세법상 유추가 금지된다는 것이 전통적 견해이다. 즉, 형법에서 죄형법정주의에 따라 피고인에게 불리한 유추가 금지되듯, 세법에서도 조세법률주의에 따라 납세자에게 불리한 유추도 금지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세법상 유추가 가능한지에 대하여 법이론적 측면, 규범적 측면, 그리고 실제적 측면에서 논증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법상 유추의 가부문제의 본질은 법적 안정성과 정의(형평과 합목적성)의 대립문제이다. 따라서 세법상 유추의 가부는 기존 전통적 견해나 최근 서울고등법원 2010누10077 판결과 같이 납세자의 이익 기준에 따라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 법적 안정성과 정의의 비교형량 기준에 따라 판단할 문제이다.
    둘째, 법적 안정성과 정의를 비교형량한 결과, 형법에서는 유추금지가 정당한 반면, 세법에서는 형법과 같이 유추가 금지되지 않으므로 유추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 다만, 세법상 유추 허용의 정도는 민사법보다 크지 않다. 따라서 세법상 유추 가능성은 형법과 민사법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고 할 것인데, 그 구체적 위치는 법적 안정성과 정의의 비교형량 기준으로 사안마다 법관이 판단할 문제이다.
    셋째, 국세기본법상 세법 해석의 기준에 관한 규정은 법적 안정성과 정의의 비교형량 기준에 따른 유추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넷째, 국세기본법상 경제적 실질에 따른 실질과세는 유추에 의한 과세와 같다.
    다섯째, 대법원은 실제로 ‘유추적용’을 명시하면서 납세자에게 불리한 유추를 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세법상 유추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며 이는 납세자의 이익 기준이 아니라 법적 안정성과 정의의 비교형량 기준에 따라 판단되는 것이므로, 종래 조세법률주의를 근거로 납세자에게 불리한 유추가 금지된다는 생각은 타당하지 않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sult of the discussions on whether analogy is allowed under the tax law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since the essence of the issue of whether analogy is allowed under the tax laws is a conflict between legal stability and justice, whether or not analogy is allowed under the tax laws should be determined not based on the interests of taxpayers as argued by the existing conventional theory or the recent judgment by Seoul High Court but based on the balancing between legal stability and justice.
    Second, with respect to the balancing between legal stability and justice, since the tax laws do not prohibit analogy as the criminal laws do, analogy could be made, but the scope of the analogy allowed is not as wide as under the civil law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nalogy under the tax laws is located somewhere between the criminal laws and the civil laws and the specific location should be determined case by case by a judge based on the balancing between legal stability and justice.
    Third, the provisions regarding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s under the Basic Act on National taxes allow the possibility of analogy based on the balancing between legal stability and justice. Fourth, the substantial taxation based on the economic substance under the Basic Act on National Taxes is the same as the taxation by analogy.
    Fifth, the Supreme Court actually makes analogy unfavorable to taxpayers while expressly describing “application by analogy" and in principle, does not allow analogy favorable to taxpayers. Therefore, whether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theories, of norms and of substance, it can be said that analogy is allowed under the tax laws.
    Meanwhile, the result of the discussions on the recent judgment rendered by Seoul High Court based on the balancing between legal stability and justic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f Article 100(2) of the Income Tax Act is not subject to application by analogy, it can secure legal stability though it is against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taxation. If Article 100(2) of the Income Tax Act is applied by analogy, it undermines legal stability while it is still against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tax exemption. Therefore, whether Article 100(2) of the Income Tax Act should be subject to application by analogy causes a special problem where the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taxation and the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tax exemption conflicts with each other. Second, the fundamental reason that such conflict occurs within the principle of justice is that the scope of “similarity" is different in connection with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Article 100(2) of the Income Tax Act. Third, the reasonable interpretation is to “apply Article 100(2) of the Income Tax Act by analogy," and at the same time, to make “teleological reduction" by setting up a limitation that the taxable capital gains shall not exceed the total capital gains in connection with the result of the proportional calculation. This is, in the end, combination of analogy and teleological re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