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문학의 ‘불편함’에 대하여 - 그로테스크한 경향과 관련하여 (A study on the role of ‘Inconvenience’ in 19th-Century Korean literature: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Grotesqu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09.06
35P 미리보기
19세기 문학의 ‘불편함’에 대하여 - 그로테스크한 경향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36호 / 253 ~ 287페이지
    · 저자명 : 정환국

    초록

    이 글은 19세기 문학의 ‘불편함’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불편함이란 텍스트 안의 인물들이 맞닥뜨린 현실과 그 반응이기도 하면서, 이들과 마주한 독자의 심리까지 포함하는 용어이다. 여기서 거론한 「변강쇠가」, 「장끼전」, 「덴동어미화전가」, 「노처녀가(2)」는 모두 19세기의 문제적인 작품들인데, 주인공들은 그들의 심리와 행동을 불편한 방식으로 드러낸다. 이들은 대개 병을 앓거나 질병에 노출되어, 이른바 ‘불온한 몸’으로 형상화된다. 이 불온한 몸은 복잡하고 불편한 현실을 대변하는, 말하자면 사회의 병리적 시선이 이들 불온한 몸에 투과된 양태로 나타났던 것이다. 더군다나 이 불온한 몸과 병리적 시선의 맞은 편에 여성을 위치시킴으로써 문제의 심각성이 배가되는 양상이다. 특히 ‘개가(改嫁)’는 다른 어떤 현실보다도 더 문제보다도 현실로 여성들에게 육박해 왔던 바, 이에 대한 반응은 19세기를 이해하는 작은 실마리이기도 하다. 확실히 이들 여성들은 개가를 기존의 질서체계와는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인다. 이 지점에서 전통적인 질서의 하나였던 개가는 아주 불편한 이데올로기로 이해되기에 이른다. 이 글은 이와 같은 19세기 몇몇 문학 작품의 불편함을 그로테스크(Grotesque)한 성격으로 파악하였다. 그로테스크한 성격 중 괴기성(怪奇性)보다는 곤혹스럽고 불편한 지점에 착목한 예이다.
    한편 이 글은 19세기 문학의 다면성을 환기하고자 하는 의도와 함께 우리 문학의 그로테스크한 면을 본격적으로 논의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기획된 시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앞으로 이에 대한 관심과 심도 있는 연구가 요청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role of ‘Inconvenie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grotesque in 19th century Korean literature. The term ‘Inconvenience’ refers to not only the reality and the response to the literary characters but also the readers' feeling when they encounter the character. Byeongangsoe_jeon, Jangkki_jeon, Dendong- eomihwajeon_ga, Nocheo-nyeo_gaⅡ - such works are remarkable examples of the grotesque in 19th century Korean literature. The characters show us their unstable mind and action in many different ways. They are described as ‘defective bodies’ caused by diseases. In various ways, these characters reveal the uncomfortable reality of society. In other words, the writer's pathological view of society is uncovered through the characters' defective bodies.
    To speak seriously, in the 19th century, Most women tended to be borne as a n inconvenient reality of life. Especially, the social prohibition against remarriage was gaining influence. For this reason, there action to remarriage problem in the text could be a clue understanding the social reality of the 19th century. The female characters accepted this remarriage differently than in the past. This remarriage, which was one of the typical social systems, seems to be a very inconvenient ideology.
    The characteristic of grotesque developed from the inconvenience which is shown in 19th century Korean literature. This example focuses not on the part of freak but rather on the embarrassment and inconvenience that are characteristic of grotesque.
    The aim of this examination of ‘Inconvenience’ is to both arouse concern for the various aspects of the 19th century Korean literature and to establish the function of the grotesque in the works of that period. It requires continuous interest and careful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