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의 자유』(The Freedom of the City)를 통해 본 프리엘의 포스트모던적 역사관 (Brian Friel’s Postmodern Historical Theory in The Freedom of the Ci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1.12
26P 미리보기
『도시의 자유』(The Freedom of the City)를 통해 본 프리엘의 포스트모던적 역사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1호 / 293 ~ 318페이지
    · 저자명 : 정윤길

    초록

    브라이언 프리엘은 아일랜드인들의 의식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이미지와 신화들에 대해 특히 관심이 깊은 작가이다. 이러한 이미지와 신화들을 탈신화함에 있어, 그는 문화적이고 정치적인 조화를 방해하고 있는 기존의 문화적 토대들을 바꾸려한다. 그는 아일랜드의 옛 신화와 역사들을 탈신화하면서 식민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난 포스트모던적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기존의 신화와 역사들을 대신하려한다. 『도시의 자유』에서 프리엘은 개인과 공적 형태의 다양한 담론들을 통해 정치적 폭력이라 할 수 있는 역사적 사건에 대해 다층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도시의 자유』는 1972년에 실제로 일어났던 역사적 사건을 극적 상상과 허구화의 과정을 통해 극 중 1970년의 새로운 이야기로 만들어 낸 작품이다.
    이 논문은 프리엘의 극이 특정한 정치적 입장과 관련된 이데올로기적 명령을 그대로 따르는 과거에 대한 재현이 아니라 역사적 재현을 둘러싼 일련의 논의들을 유발하는 아주 흥미로우면서도 의미 있는 작업을 하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역사란 과거 사실과 직접적으로 일대일 대응관계도 없으며, 있는 그대로를 재현할 수도 없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은 그의 역사인식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포스트구조주의적 시각으로 역사를 해석하고 있는 헤이든 화이트의 이론과 많은 연결점을 지닌다. 화이트와 프리엘은 ‘역사는 하나의 텍스트이며 동시에 담론’이라는 동일한 명제로 포괄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역사적이며 다양한 형식의 해석과 관련하여 진실과 허구의 기준을 적용하는 것의 문제이다. 프리엘은 역사가는 과거를 설명할 때 역사적 상상력을 활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역사는 문학적 전통과 역사가의 상상력을 통해 형성된 내러티브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영어초록

    Brian Friel is concerned particularly with the images and myths that have shap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 demythologizing some of these images and myths, he hopes to alter the cultural foundations that sustain many of the traditional prejudices that inhibit cultural and political harmony. As he demythologize the old histories and myths, he hopes to supplant them with new one, a postmodern view of history that is free from the colonial perspectives. In The Freedom of the City, he gives us multiple perspectives on an incident of political violence through various forms of public and private discourse. In The Freedom of the City Friel offers a new perspective for history which can restate their history. The play was concerned with major event in colonial history. Given the context in which the play was written ― Northern Ireland was in a state of war at the time ― the Catholic residence Bogside ghetto march and riot that took place on January 30th, 1972 in Derry.
    The argument of this essay is that rather than presenting versions of the past which conform to the ideological imperatives of a particular political stance, Friel’s plays are much more interesting and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oke a whole series of questions around the issue of historical representation. This study on both Friel’s historical discussion about making history and his own process of making history in The Freedom of the City to see how his historical drama enacts issues addressed by Hayden White. Metahistories are not embedded in the past—they are imposed on the past, to give it “continuity, coherency, and meaning.”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ose questions is the applicability of the criteria truth and falsity in historical and other modes of interpretation. He argues strongly that historians employ the “historical imagination” when depicting the past. His idea is that HISTORY is the narrative prose shaped by literary conventions and the historian’s imagination. This essay concludes with a consideration of the politics of memory and forgetting in contemporary Northern Ire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