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Korean Women in the Polic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6.12
54P 미리보기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Korean Women in the Policy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3권 / 3호 / 37 ~ 90페이지
    · 저자명 : 김병록

    초록

    The current Constitution of Korea, article 10 regulated the 'dignity and value as human beings,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as ideological foundation for guarantee of basic rights and to achieve this under Article 11 it has materialized the 'equality' in various areas such as education, employment, marriage and family life, elections, etc as a methodological basis. However, in the Constitution women are the subject to enjoy the right equally in the Hold public office and right to vote. But ratio of female members is very outdated in World Women's equality measure such as Gender Empowerment Measure (GEM), Gender Inequality Index (GII), and Gender Gap Index (GGI) etc. And of course, the number of female officials is increasing trend but compared with France, New Zealand, Germany, Canada, UK, etc. it is still low.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female civil servants management positions, which has the influential currently, it is about 14 percent in 2009. And among them the proportion of female senior civil servants is 1.8%.
    So,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has proposed human rights policy's objectives and priority project through the National Action Plan (NAP). Establishing the National Action Plan is to meet the meet the demands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 organization, also, at the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 of Action' of the World Conference on Human Rights 1993 in Vienna advice the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Council and National Action Plan to each countries and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CESCR) was advised to report about the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Council until June 30, 2006.
    But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is too low and still excluded or limit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Government, NGO, labor union, etc. In this situation,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CEDAW) in 1998. It advised to increase the percentage at least 30% for the women in party and create a policy for women's social activities and Article 25 of the UN Human Rights regulates the equal rights for election and public service. As a result, gender quota system, Affirmative Action for Public Officers and Women Professors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etc. these Institutions are take effect by Act on Women's Development,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Party law, Public Service Aptitude Test law, Fostering and Supporting of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law, Public Educational Officials Act, etc.
    Despite of these legislative achievements women's inequalities are still in this society. Especially, the power of decision-making by participation in public is insignificant. This paper check the Female's Seats in national parliament in Korea and Using the recognition of Comparative Study's reality(Ⅱ) examine the Participation of Korean Women in the Policy(Ⅲ), in analysis the Hindrance Factors of the Participation of Korean Women in the Policy(Discriminative Factors)(Ⅳ). after then propose the Improving Efficiency of for the Participation of Korean Women in the Policy (the Solutions to Discrimination)(Ⅴ)and Political Proposal(Ⅵ) is this study's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