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염상섭 초기소설의 창작기법 연구:『진주는 주엇스나』와 『햄릿』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Creative method of Sang-seop Yeom's Early Novel : Comparative Literary Study of Though Gave the Pearl and Hamle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3.04
36P 미리보기
염상섭 초기소설의 창작기법 연구:『진주는 주엇스나』와 『햄릿』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39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김명훈

    초록

    『묘지』와 『삼대』 사이의 염상섭 소설들은 다양한 형식상의 변이와 치열한 현실 인식을 내포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묘지』와 『삼대』의 독보적인 문학사적 위상에 가려져 그 본령이 충분히 해명되지 못한 형편이다. 1925년부터 1926년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된 『진주는 주엇스나』 역시 예외는 아니다. 『진주는 주엇스나』는 서사구조나 인물의 성격에 있어서 익숙한 패턴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전형성은 『진주는 주엇스나』를 대중영합적인 신문연재소설이나 도식적인 멜로드라마로 평가하도록 만드는 근거로 작용한다. 그러나 작품의 결말 부분에서 나타나는 아이러니한 서술 태도는 『진주는 주엇스나』의 서사가 단지 익숙한 로맨스의 문법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드러낸다. 『진주는 주엇스나』의 서사구조와 인물유형은 염상섭이 일본 유학시절 문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접했던 셰익스피어의 『햄릿』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시공간적·비평적 거리에 의해 초문맥성을 확보함으로써 『햄릿』의 주제를 결정적으로 전도한다. 이러한 특성은 익숙한 문법을 반복하되 그것과의 비평적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아이러니를 발생시키는 패러디의 문법과 일치한다. 특히 『진주는 주엇스나』의 『햄릿』 패러디에서 주목되는 것은 『햄릿』에서 타락한 왕권과 근친혼을 상징하는 ‘진주’가 『진주는 주엇스나』에서는 타락한 부권과 매매혼, 나아가서는 양자가 결부된 반민족적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제시된다는 점이다. 또한 타락한 왕권과 근친혼을 상징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징벌하는 기능을 했던 『햄릿』의 진주와는 달리 『진주는 주엇스나』의 진주는 작품의 제목이 암시하는 것처럼 단지 서사 내의 특정한 상징이나 기능을 담당하는 차원을 넘어서 작품을 둘러싼 컨텍스트 전체에 대한 비판적 거리로 표시된다. 요컨대 『진주는 주엇스나』는 1920년대 조선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재현하려 했던 염상섭의 문제의식이 패러디라는 창작기법에 의해 그 본령을 얻은 작품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Sang-seop Yeom's novels between Cemetery and Three Generations involve variousvariations of format and keen awareness of reality, but, on the other hand, the properfunction of the novels is not elucidated fully being hidden by matchless literary positionof Cemetery and Three Generations. Though Gave the Pearl which is published serially inDongA daily newspaper from 1925 to 1926 is also not an exception. Though Gavethe Pearl shows a familiar pattern of narrative structure and character's personality,and this stereotype makes the novel be evaluated as a populistic serial novel in anewspaper or a schematic melodrama. However, the ironic attitude on narration whichis appeared in the novel's ending part proves that the novel's narration does not repeatthe familiar rules of Romanc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type of character inThough Gave the Pearl are very similar to those in Hamlet which Yeom Sang-seoplearned about when he started to be interested in literature while studying in Japan,but he decisively reverses the theme of Hamlet by retaining transcontextualization throughspatial-temporal and critical distance. That characteristic corresponds to the rules ofparody which generates irony by repeating the familiar rules but retaining critical distancefrom them. What is noticed especially in parody of Hamlet in Though Gave the Pearlis that 'pearl' in Though Gave the Pearl is presented as a symbol of corrupt paternity,purchasing marriage, and antinational capitalism which is combination of the two while 'pearl' in Hamlet is presented as a symbol of corrupt royal authority andintermarriage. Furthermore, contrary to the pearl in Hamlet which symbolizes corruptroyal authority and intermarriage, at the same time functions as punishment of them,the pearl in Though Gave the Pearl is indicated as critical distance from the whole contextwhich surrounds the work beyond just taking in charge of particular symbol or functionin the narration as a title of the work implies. To sum up, Though Gave the Pearlis the work in which Sang-seop Yeom's critical mind of representing the reality ofChosun in 1920s critically obtains the proper function by creative method, paro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