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방형 혁신시대 국가연구개발사업 국제공동연구 수행 시 효율적인 성과보안을 위한 정책적 제안 - 국제공동연구 관련 법령 개선을 중심으로 - (The Policy Proposal for the Security of Research Achievements Performing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Research in an Age of Open Innovation - Focused on Improvement of the Laws related International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6.08
37P 미리보기
개방형 혁신시대 국가연구개발사업 국제공동연구 수행 시 효율적인 성과보안을 위한 정책적 제안 - 국제공동연구 관련 법령 개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7권 / 3호 / 91 ~ 127페이지
    · 저자명 : 강선준, 김민지

    초록

    국제과학기술협력은 기술의 세계화 현상이 확산되고 기업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면서 더욱 증가하고 있지만, 그 중 국제공동연구나 국제위탁연구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국제공동연구를 위한 국내의 정확한 법규나 지침, 가이드라인의 부재를 꼽을 수 있다. 즉 국제공동연구 자체로는 연구계약 성과가 될 수 있지만, 국제공동연구 진행 후 성과물보호나 기술보호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국내기술이 유출되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국제공동연구계약 체결 시 연구성과를 보호하고 당사자 간의 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도구로써 계약서 작성 및 체결 시 지침이 될 수 있는 규정의 마련은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나라 국제공동연구의 법제 현황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국제공동연구 관련 법제는 과학기술의 기본이념인 「과학기술기본법」 제18조를 중심으로 하여 하위에 대통령령인 「국제과학기술협력규정」과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규정」으로 나누어지고, 이하 각 주요 행정부처별로 국제공동연구 관계 법률에 따른 훈령․예규․고시․지침 등의 형태로 규제되어 있다. 그러나 각 부처별 규정에 유사한 부분이 있음을 확인한 후 관련 법령체계를 통합하거나 입법체계를 일원화 또는 단순화 시킬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다음으로 국제공동연구의 법제 정비를 주장하며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입법론으로써 총 세 가지 법률을 살펴보았는데,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규정에 대한 개선(안)과 국제과학기술협력규정에 대한 개선(안), 국제공동연구 관리지침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단기적 방안으로 현재의 국제과학기술협력규정을 국가과학기술심의회로 이관하여 전 부처에 적용 가능하도록 법령을 단일화 하여 국제공동연구를 일괄적으로 규율할 수 있도록 입법체계를 개선하여야 한다.
    장기적 방안으로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규정상의 핵심내용을 반영하여 별도의 법률로 입법화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제공동연구와 관련하여 ‘국제공동연구’의 용어를 정의하여 법적용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국제공동연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국가적 차원의 연구 성과․기술보호 컨트롤타워 구축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increasing more while internationalization of technology is expanded and overseas expansion of companies is activated, but international joint researches and international consignment ones appeared as having been decreased gradually.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reasons, the largest problem lies in absence of correct laws, instruction, and domestic guidelines for international joint researches. That is, international joint researches themselves would be performances of research agreements, but there are worries on leakage of domestic technologies because protecting achievements or technologies have not been progressed after finishing international joint research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tect research performances when concluding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agreements and to prepare regulations which can become instructions in case of writing and concluding agreements as a tool of being able to prevent disputes between concerned parties.
    Contents having been looked into in this research are sam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watched legislation status of international joint researches in our country. Legislation related to international joint researches in Korea is divided into subordinate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Regulation, a Presidential decree, and National R&D Business Management Regulation by centering on Article 18 of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belongs to basic principles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have been controled by types of order, SOP, instructions of each administrative department related to international joint researches. Howeve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ere similar parts in regulations of each administrative department, and insisted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relevant legislation system, or unifying and simplifying the legislative system.
    Next, this study proposed theory of legislation while insisting consolidation of legislation in international joint researches. As the theory of legislation, total 3-kind laws were reviewed, and revised bills (plans) on National R&D Business Management, Cooperation in Inter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Management Instructions were suggested.
    Such legislation and laws maintenance having been suggested in this research seems to be largely helpful in situations such like there are not guidelines which could be applicable properly to performance management from agreements in relation with current international joint researches actually, and it is thought that thick protection may be progressed basically at the same time in connection with protecting research performances and technology leakage to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