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비스업 종사자의 행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균형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Happiness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Service Sector : Focused on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Job Stress and Work-Life Balanc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9.10
23P 미리보기
서비스업 종사자의 행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균형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2권 / 10호 / 1759 ~ 1781페이지
    · 저자명 : 이재원, 오상진

    초록

    그동안 행복에 관한 연구는 주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수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행복을 선행요인으로 하여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는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목적은 서비스업 종사자의 인지된 행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 그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일과 삶의 균형의 다중매개효과를 실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모형은 인과관계 가설과함께 다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가설로 설계하였다. 설문지는 서면을 통한 질의응답 방식으로 500부를 배부하여 443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자료는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가설검증은 부트스트랩 방식을 활용하는 Macro 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조직구성원의행복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행복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감소하며 일과 삶의 균형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그리고일과 삶의 균형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넷째, 구성원의 행복과 이직의도 간의영향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균형은 각각 매개효과와 함께 다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행복은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또한 일과 삶의 균형 수준을 증진시키며이들을 매개로하여 구성원들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행복의 선순환’ 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직의도의 선행요인으로 행복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는 점과 그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균형의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이 구성원들의이직을 줄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행복에 최우선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직무스트레스해소 방안을 강구하고 일과 삶의 균형 증진을 위한 우호적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제공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성에 대해서도 논의를 하였다.

    영어초록

    Until now, the study on happiness has mainly focus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and there was a limit to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happi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the variables related to happiness can have a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cause and effect, and positive emotions of members with high levels of happiness spread from one area of work and family to another, and positive emotions, which are an important component of happiness, expand and form in different areas of life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lore the strategic virtuous circle of an organization in which the enhancement of the happiness of the workers lowers the job stress, increases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and eventually lowers turnover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perceived happiness of service workers on turnover intention and to demonstrate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job stress and work-life balance in the relationship.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s a causal hypotheses and a hypotheses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multiple mediation.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500 copies in a written question-and-answer format, and 443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hypotheses test was analyzed using Macro 3.0 utilizing bootstrap method.
    Verifying the hypotheses of the research model, first, the higher the happiness level of the workers, the less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higher the happiness level of the workers, the lower the job stress and the higher the work-life balance. Third, the lower the job stress of the workers,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higher the work-life balance,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t was shown that job stress and the work-life balance had a mediation and multiple mediation effect,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virtuous cycle of happiness. In other words, a worker's happiness has reduced job stress and increased work-life balance, eventually lowering the worker's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effect of happiness as a leading factor of turnover intention and confirmed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job stress and work-life balance in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First, in order for a company to reduce the turnover of workers, it should not regard the happiness of the workers as attributable to the individual, but should pay top attention to the happiness of the worker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this end, companies need to improve organizational policy and leadership and create job conditions and work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happiness of the workers.
    Second, since job stress and work-life balance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companies need to introduce various job-stress mitigation programs and expand financial and time support measures to ensure that workers' self-development, leisure and family life are faithfully carried out.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