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각장애인을 위한 업사이클 점자 스마트 주얼리 디자인 제안 - 파손된 점자블록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pcycled Braille Smart Jewelry Design for the Visually Impaired - Focusing on the Use of Broken Braille Blocks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1.08
13P 미리보기
시각장애인을 위한 업사이클 점자 스마트 주얼리 디자인 제안 - 파손된 점자블록 활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26권 / 3호 / 81 ~ 93페이지
    · 저자명 : 이희진, 문선영

    초록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다양한 기기의 디스플레이 노출과 고령화 현상으로 시각장애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시각장애인의 길 안내를 도와주는 점자블록의 파손으로 인해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현대인의 건강 관심도가 높아지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사용자의 범위를 넓히고자 시각장애인도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ABS수지의 파손된 점자블록을 업사이클 소재로 활용하여 헬스케어 기능의 업사이클 점자 스마트 주얼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시각장애인, 점자블록, 업사이클 디자인의 정의, 종류, 현황에 대해 조사한다. 본 연구의 활용 소재인 ABS수지의 파손된 점자블록 폐기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성형 기법과 고유의 패턴을 디자인에 반영한다. 또한 ABS수지에 색을 표현할 수 있는 옻칠을 표현기법으로 손목착용형 업사이클 점자 스마트 주얼리를 중심으로 디자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증가하는 시각장애인의 현황과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코로나19로 인한 건강관심도 증가 데이터를 종합하여 시각장애인을 위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필요성을 증명하였다. 둘째, 전자 점자를 접목한 헬스케어 스마트 주얼리로 시각장애인도 바이오리듬 확인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점자 읽기에 편리하며 항시성과 사용성이 용이한 손목착용형인 스마트 팔찌로 제작하고자 하였다. 셋째, 점자 스마트 주얼리의 제작 소재로 ABS소재의 파손된 점자블록을 사용하여 업사이클 디자인을 시도하였고, 옻칠기법을 접목시켜 알레르기 방지 및 표현의 범위를 확장하여 디자인을 제안한다.
    결론 시각장애인도 사용 할 수 있는 헬스케어 기능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자 점자를 접목하고, ABS수지의 파손된 점자블록 폐기물을 활용해 사회·환경 문제에 해결 방안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본 연구의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 할 수 있는 소비자들의 범위를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Backgroun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umber of visually impaired people is increasing due to the display exposure of various devices and the aging phenomenon, and civil complaints are continuously occurring due to the damage of the braille blocks that help guide the visually impaired. As the health interest of modern people increases and the use of wearable devices increases, the need for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used even by the visually impaired was recognized in order to broaden the range of user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intend to propose upcycled braille smart jewelry with health care function by using the broken braille block of ABS resin as an upcycle material.
    Methods For the purpose we will investigate the definition, types, and current status of the visually impaired, braille block, and upcycle design. The molding technique and unique pattern for reusing the damaged braille block waste of ABS resin, the material used in this study, are reflected in the design. In addition, We intend to design lacquer that can express color on ABS resin as an expression technique, focusing on wrist-worn upcycled braille smart jewelry.
    Result 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proving the need for a health care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by synthesizing the increasing status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data on the increase in health interest due to COVID-19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the present design was intended to produce a wrist-worn smart bracelet tha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read braille and is easy to use at all times, as it is a healthcare smart jewelry that incorporates electronic braille, so that even the visually impaired can check the biorhythm. Third, an upcycle design was attempted by using a broken braille block made of ABS material as a material for making braille smart jewelry, and the lacquer technique was applied to prevent allergies and expand the scope of expression in design proposal.
    Conclusion Electronic braille is applied to wearable devices with health care functions that can be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scope of solutions to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s expanded by using the broken braille block waste made of ABS resin. It is expected that by proposing the design of this study, broadening of the range of consumers who can use healthcare wearable devices will be pos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