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VR을 활용한 초등 역사수업 교수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An Autoethnography of the Teaching Experience in an Elementary History Class Using VR)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4.11
20P 미리보기
VR을 활용한 초등 역사수업 교수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4권 / 21호 / 193 ~ 212페이지
    · 저자명 : 김세훈

    초록

    목적 이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VR을 활용한 역사수업을 진행하면서 나타나는 수업의 양상과 그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경험 그리고 의미를 심층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VR을 초등 역사수업 그리고 사회교과서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수 있는 대안적인 관점과 접근 방안을 제안하려고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다. VR을 활용한 초등 역사수업의 양상을 나의 삶의 맥락에서 성찰과 반성을 담아 보다생생하게 드러내기 위해서는 자문화기술지가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나는 Chang(2008), 박순용, 장희원, 조민아(2010), 이동성(2020)이 제안한 연구 절차를 참고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 및 해석하였다.
    결과 VR을 활용한 한 학기 동안의 초등 역사수업 과정은 용두사미(龍頭蛇尾)의 흐름을 보였으나 나는 그 속에서 의미를 찾을 수있었다. VR을 활용한 초등 역사수업은 초반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증가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후반부로 가면서 나와 학생들에게 예상치 못한 난관들이 발생하여 학생들의 흥미가 저하되고 나도 자신감을 잃게 되었다. 하지만 나는 이 경험속에서 VR을 초등 역사수업, 사회교과서에 활용하는 방안과 향후 과제를 찾을 수 있었다.
    결론 나는 초등 사회과 수업, 초등 역사수업, 사회교과서에서 VR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마부위침(磨斧爲針)을 기대하며 다음과같이 논의점을 제안하려고 한다. 첫째, VR을 초등 역사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교사는 전문성을 발휘하여 교육과정, 교과서를 해석하고, VR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차시를 결정해야 한다. 그 후 해당 차시에 효과적으로 조직된 VR 콘텐츠를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한다. 둘째, VR을 체험하는데 충분한 성능을 갖춘 HMD와 스마트폰을 준비해야 한다. 셋째, VR을 체험하는 시간은 한 번에 최대 10분을 넘기지 않아야 하며, 사용 횟수는 한 차시의 수업에서 한 번을 넘기지 않아야 한다. 넷째, 초등역사수업을 위한 양질의 VR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들이 직접 그리고 쉽게 VR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완성된 VR 콘텐츠를 수업에 맞게 변형할 수 있는 플랫폼 혹은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eply reveal the aspects of a history class conducted b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using VR, as well as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experienced by teachers and students during the class. Through this, it aims to suggest alternative perspectives and approaches that can more effectively utilize VR in elementary history classes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Methods To achieve this, autoethnography was utilized, as it was deemed appropriate for vividly capturing the as pects of elementary history classes using VR in the context of my life, including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I col 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data by following the research procedures suggested by Chang (2008), Park Soon-yong, Chang Hee-won, and Cho Mi-na (2010), and Lee Dong-sung (2020).
    Results The elementary history class using VR for one semester was successful at first, but fell short of expect ations as it went on. However, I was able to find meaning in the process. The elementary history class using VR showed a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early students. However, as it went on, unexpected difficulties arose for me and the students, which led to a decrease in the students’ interest and my own confidence. However, through this experience, I was able to find ways to utilize VR in elementary history classes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as well as future tasks.
    Conclusions I hope that VR will be effectively utilized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es, elementary history classes,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discussion points. First,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VR in elementary history classes, teachers should demonstrate their expertise to interpret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decide on the appropriate class period for utilizing VR. After that, they should use the minimum amount of effectively organized VR content in that class period. Second, they should prepare HMDs and smartphones with sufficient performance to experience VR. Third, the time spent experiencing VR should not exceed 10 minutes at a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it should be used should not exceed one time per class period. Fourth, they should develop high-quality VR content for elementary history classes. Fifth, they should de velop a platform or program that allows teachers to easily create VR content themselves or modify completed VR content to fit their cl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