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간마케팅 관점으로서 업사이클링 공간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Spac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Marketing)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7.10
14P 미리보기
공간마케팅 관점으로서 업사이클링 공간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2권 / 5호 / 349 ~ 362페이지
    · 저자명 : 유기민, 김지현, 김주연

    초록

    (연구 배경 및 목적) 오늘날 현대사회는‘가치소비’기반 업사이클링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시장의 변화는 단순히 물질적인 소비가 아닌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시키고 소비단계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업사이클링 디자인 관련 국내 시장의 규모는 해외시장보다 현저히 느려 미약적인 성장을 거듭하였지만 2015년에는 100억 원까지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관련 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본 연구는 공간마케팅 관점으로서 업사이클링의 개념과 디자인요소를 분석하여 공간마케팅 전략으로 활용 가능 한 공간디자인 특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다양한 기능을 가진 복합문화공간을 선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국내 업사이클링 개념도입 시기를 2010년도 이후를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선행분석이 되었던 업사이클링 정의와 디자인요소를 공간마케팅 관점으로 재정립하여 업사이클링 개념을 제안하였다. 둘째, 도출된 업사이클링 디자인요소 45가지를 공간마케팅 관점기준으로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으로 공간디자인 특성을 분류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인 복합문화공간의 업사이클링 공간디자인 특성 세부요소 적용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업사이클링 공간디자인 특성은 균일하게 분포되어 나타났으며, 대상지를 향유하는 주체와 대상의 관계는 매개체를 활용한 특성과 장소성에서 오는 역사적, 시간적 특성에 의해 유희적, 쾌락적 관계가 형성이 되며 기능적 공간 형성을 통해 프로그램을 조성하고 소비자의 참여성을 증가시켜 기업의 이념과 이미지 제고를 시킨다. 그리고 제한된 환경자원을 활용하여 공간에 열린 녹지공간을 조성해 기존 공간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가치를 지닌 공유공간의 특성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현재 지속가능성의 정의와 의미를 중심으로 건축과 공간뿐만이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시간성을 적용한 디자인요소의 활용은 시장 변화 양상에서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의 디자인의 적용으로 고부가가치성을 창출하여 공간마케팅 적용에 있어 전략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디자인 특성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contemporary society, the “Value Consumption-based” upcycling market is expanding. Changes in the market satisfy the emotions of consumers, rather than simply addressing physical consumption and are being expanded as the concept including the consuming step. It was expected that the scale of the domestic market related to upcycling design would develop very slowly compared to foreign markets.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 scale reached 10 billion Won in 2015, after repeated rapid growth, so the relevant business will grow continuously. Given the social background,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the features of space designs available for some kinds of spatial marketing strategies, by analyzing the concepts of upcycling and the design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marketing.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complex cultural spaces with various functions, and the temporal scope was decided from the recent years via 2010, when the concept of upcycling had been introduced into our country. Thus, first, the concept of upcycling was suggested after redefining upcycling and the design elements that were previousl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marketing. Second, 45 kinds of upcycling design elements deduced were classified into the superordinate concept and the subordinate one of space designs. Third, it was analyzed whether the specific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space designs for some complex cultural spaces which are the targets of this study must be applied or not.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space designs are evenly distribute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and objects enjoying the target spaces form amusing and hedonic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utilizing media and the historic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each specific place. The ideology and images of a company are enhanced by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after establishing a program through the formation of functional spaces.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s were analyzed, having their spatial values generated from the existing spaces by creating open green spaces in each space, while utilizing limited environmental resources. (Conclusion) Focusing on the current definition and meaning of sustainability, it is expected that design elements will continue to be utilized, applying some economic, social, environmental, cultur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architectural and spatial ones under the conditions of changing trends in the 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some design characteristics for upcycling designs to be used strategically, applying them to spatial marketing after creating highly added value by applying such upcycling desig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