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기 신정언과 김동인의 활약상과 그 행방- 해방과 야담(작)가들① (The activities and whereabouts of Shin Jeong-eon and Kim Dong-i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Liberation and Yadamers ①)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2.08
37P 미리보기
해방기 신정언과 김동인의 활약상과 그 행방- 해방과 야담(작)가들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91호 / 383 ~ 419페이지
    · 저자명 : 공임순

    초록

    본 논문은 부제에서 적시했듯 “해방과 야담(작)가들”의 첫 번째 글에 해당한다. 이 장기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된 이유는 식민지시기에 머무르고 있는 야담사(野談史)를 해방 이후로 옮기고자 하는 목적 때문이다. 본 논문은 ‘식민지시기 유명 야담가는 해방 이후 어떻게 되었는가’를 실마리 삼아 이 과제에 접근해보고자 했다. 근(현대) 오락을 표방하며 식민지시기에 맹활약했던 이 유명 야담가들의 해방 이후 행적이야말로 그 단초를 제공하리라는 개인적 판단도 한몫했다. 야담 연구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품음 직한 의문이지만, 이를 다룬 선행연구는 없었다. 본 논문은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이자 해방 이후 야담사로 나아가기 위한 밑그림으로서 그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신정언과 김동인의 해방 이후 행적을 다뤘다. 이들을 택하게 된 가장 주된 근거는 해방 이후 이들의 활동 기간이 겹친다는 점 때문이다. 1950년 7월 신정언의 피랍에 이어 1951년 2월 김동인의 죽음은 한국전쟁의 파고를 넘지 못한 두 사람의 비극을 말해준다. 해방일로부터 근 5년여가 이들의 주 활동 시간대였던 셈이다. 하지만 이 기간에 두 사람이 실제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알려진 바가 적다. 본 논문은 2장에서 신정언을 중심으로 이를 해명했다면, 3장에서는 김동인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선행연구가 드문 현실을 반영해 이들의 해방기 저서를 목록화하는 기초 작업도 병행했다. 야담사류가 민족문학자를 자처한다고 꼬집었던 임화의 발언에 담긴 야담(가)의 주변적 지위는 식민지시기의 연장이기도 했지만, 양 진영이 대치한 해방기 정세 속에서 우익 진영의 민족문학을 대변하는 활동 공간을 열어주기도 했음을 2장과 3장은 드러내준다. 결론인 4장에서는 이들의 왕성한 활동에도 잊힌 신정언의 피랍 경위를 되짚음으로써 망각에 맞서는 기억하기를 그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As stated in the subtitle, this paper corresponds to the first article of “Liberation and Yadamers”. The reason for planning this long-term project is because of the purpose of moving the history of Yadam, which remains in colonial times, after liberation. This paper attempted to approach this task as a clue to ‘what happened to Yadamers, famous for the colonial era, after liberation’. The famous Yadamers’ post-liberation activities, which were active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modern entertainment, would provide the clue. It is a question that any Yadam researcher has, but there have been no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it. This paper is meaningful as an answer to this question and as a base work to advance to the history of Yadam after liberation.
    To this end, this paper dealt with Shin Jeong-eon and Kim Dong-in’s post-liberation activities. The main reason for choosing them is that their activities after liberation overlap. Following Shin Jeong-eon’s kidnapped to North Korea in July 1950, Kim Dong-in’s death in February 1951 tells the tragedy of the two men who failed to overcome the wave of the Korean War. It means that they have been their main activity for about five years from the day of liberation. However, it is not known what kind of activities the two actually did during this period. In Chapter 2, this paper explained this with a focus on Shin Jeong-eon, but in Chapter 3, it was discussed with Kim Dong-in. Reflecting the rare reality of previous studies, this paper also carried out a basic work of cataloging their liberation period writings. The marginal status of Yadam in Lim Hwa’s remarks, which criticized Yadamers as self-proclaimed national literary scholars, was also an extension of the colonial period, but in the liberation situation in which the two camps faced each other, it opened the stage to represent the national literature of the right wing. Chapters 2 and 3 reveal that it was given. Chapter 4 replace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by suggesting a memory against this oblivion by retracing the background of Shin Jeong-eon’s kidnapped to North Korea, which was forgotten despite their vigorous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