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형도 시에 나타난 언캐니 양상 연구 (Uncanny Patterns in Ki Hyungdo’s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1.10
23P 미리보기
기형도 시에 나타난 언캐니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72호 / 307 ~ 329페이지
    · 저자명 : 박한라

    초록

    본고는 기형도 시집 『입 속의 검은 잎』에 나타난 양가적인 층위가 공존하는 현상을 ‘언캐니’의 개념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이 시집의 서사적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매체를 통한 억압과 거세된 현실’에서는 매체를 통해 억압된 것이 ‘귀환’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기형도 시에서 ‘햇빛을 복사하는 유리 담장’, ‘울창한 숲’, ‘안개’와 같은 매체는 시각장에서 현실의 자리를 뭉개고 의미를 미끄러뜨리는 역할을 한다. 팔루스로 투사된 환상에서 거세된 현실로 이동하는 서사의 구조에 있어 매체는 불확정성을 내재한 응시의 장소로 볼 수 있다. ‘거짓과 사실의 전복과 층위의 해체’에서는 주체의 층위와 타자의 층위 간의 전복이 반복되면서 발생하는 비결정적인 서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언캐니의 전복이 반복되는 현상은 무엇이 사실이고 거짓인지 알 수 없는 세태를 통해 타자성으로부터 개방된 유목적 정체성을 서사화한다. ‘분신을 통한 자기 반복와 역설’에서는 분신 관계로서의 타자가 본래 자신의 행위를 끊임없이 증폭시키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억눌린 자신이 타자가 되었다가 다시 귀환할 때 잊었던 공포가 일깨워지면서 친숙한 낯섦이 발현된 결과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Ki Hyeong-do’s poems by analyzing the coexistence of ambivalent layers in the collection “Black Leaves in the Mouth” through the concept of “uncanny.” In “Repression through the Media and Castrated Reality,” we discussed the method of “returning” what is repressed through the media. In the city of Ki Hyung-do, media such as “a glass wall that radiates sunlight,” “a dense forest,” and “fog” play a role in crushing the place of reality in the visual field and slipping its meaning. In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moving from the fantasy projected onto the phallus to the castrated reality, the medium can be viewed as a place of gaze with inherent uncertainty. In “The Overthrow of Lies and Facts and the Deconstruction of Layers,” I looked into the indeterminate narrative that occurs as the overturning between the layer of the subject and the layer of the other is repeated. The repeated overthrow of “uncanny” narrates a nomadic identity open from otherness through a situation in which what is true and what is false are unknown. In “Self-repetition and Paradox through Self-immolation,” we analyzed the aspect in which the other, as a self-immolation relationship, constantly amplifies their original behavior. Eventually, when the suppressed self becomes the other and returns, the forgotten fear is awakened, and a familiarity emer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