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탐라신행첩과 이경억의 교유 양상 (Tamna Shinhaengcheop(耽羅贐行帖) and the Interpersonal Networks of Lee Gyeong-eok(李慶億))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4.12
32P 미리보기
탐라신행첩과 이경억의 교유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92호 / 163 ~ 194페이지
    · 저자명 : 신영미, 최상근

    초록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본관 5032), 국립제주박물관에서 대여‧전시 중인 『耽羅贐行帖』은 按覈御史 李慶億(1620~1673)이 제주로 떠나기 전 동료들로부터 받은 송별의 글을 모은 別章帖이다.
    1651년 제주에서는 旌義縣監 安緝이 濟州牧使 金壽翼에게 칼을 들고 달려와 욕설을 퍼부은 사건이 있었고, 이경억은 이 일의 顚末을 파악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자료를 둘러싼 이야기가 대중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만하고, ‘帖’이라는 자료 자체의 성격상 보관 상태도 좋아 전시가 진행되었으나, 그간 첩에 수록된 ‘송별의 글 자체’에 관해서는 설명이 제공되지 못했다. 이 글은 『탐라신행첩』을 全面 탈초‧역주한 뒤, 송별 詩‧序의 수신인인 이경억을 중심으로 17세기 초~중반 西人의 관계망을 파악하여 자료의 가치를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영어초록

    The Tamna Shinhaengcheop(耽羅贐行帖)(Register of the Journey to Tamna), hous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Main Building 5032) and currently exhibited at the National Museum of Jeju, is a byeoljangcheop(別章帖, farewell anthology). This collection was created by Lee Gyeong-eok(李慶億, 1620~1673), a anheok eosa (按覈御史, inspector), prior to his departure to Jeju and consists of farewell writings given to him by colleagues.
    In 1651, an incident occurred in Jeju where An Jip(安緝, 1623~?), the magistrate of Jeongui County(旌義縣監), ran toward Jeju's chief magistrate(濟州牧使), Kim Su-ik(金壽翼, 1600~1673), wielding a sword and hurling insults. Lee Gyeong-eok(李慶億) was dispatched to investigate the incident and understand its background. The intriguing nature of the incident has garnered public interest, and the preserved condition of the cheop(帖) itself has facilitated its exhibition. However, until now, explanations of its content have been lacking.
    This study aims to prevent the museum artifact from becoming a “dead collection” by translating it, while also analyzing the underexplored interpersonal networks between Lee Gyeong-eok(李慶億) and the Seoin(西人) faction of the mid-17th century, thereby reveal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material. The annotations and commentary are intended to be accessible to non-specialists, with the hope that both Tamna Shinhaengcheop(耽羅贐行帖) and this work can find application in other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