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북한 표준어 정책 전환의 필요성‒포스트휴머니즘 시대 표준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Necessity of Transition of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Standard Language on Communication in the Posthumanism Er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8.07
26P 미리보기
남북한 표준어 정책 전환의 필요성‒포스트휴머니즘 시대 표준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72호 / 133 ~ 158페이지
    · 저자명 : 이찬규

    초록

    본 연구는 남북한 언어 이질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성문화된 규정으로 제시한 북한의 문화어와 남한의 표준어에 있다고 보며, 포스트휴먼 시대를 맞이하여 표준어가 오히려 소통을 어렵게 할 수 있어 이를 폐지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역사적으로 현대적인 관점에서의 표준어 개념은 15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프랑스는 영국에서 영향을 받았고, 이는 다시 독일에 영향을 미쳤다. 15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동안 유럽에서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 정부의 영향력을 높일 의도로 계획한 표준어 정책은 독일을 통해 제국주의 일본에도 영향을 미쳤고, 이것이 일제 강점기의 한국에까지 이어져 오늘날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표준어 정책을 제정한 국가가 된 것이다.
    남북한의 언어를 비교해 보면 맞춤법 규정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에 어휘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많은 것은 북한이 문화어 정책을 통해 말다듬기를 강력하게 추진해 왔고, 남한도 성문화된 표준어 규정을 통해 인위적으로 어휘의 표준을 정해 온 결과로 보인다. 남북이 각각의 성문화된 표준어를 가지고 있는 것은 향후 남북관계 평화 조성에도 갈등의 소지가 될 수 있다.
    소통은 언어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근대까지는 언어의 표준화가 소통에 도움이 되었지만 향후 포스트휴먼 시대에는 ‘언어 다양성 보장, 언어의 창조적 기능 활성화, 언어 평등권 확보’라는 개념이 강화될 것이므로 표준어가 오히려 소통의 풍부함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어서 폐지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성문화된 표준어 규정을 폐지하면 언중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방송이나 언론 등에서 기준으로 삼으며, 사전 등에 수록된 언어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교육하는 방식이 합리적 방법일 것으로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 표준어라는 ‘선택적’ 개념 대신에 한민족 모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언어라는 의미에서 ‘한민족공동어’라는 개념을 제안하며, 이 공동어라는 개념 속에서 남북한이 함께 한민족공동어(韓共同語) 정립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기구를 통해 충분히 논의와 활동을 전개한 후 표준어와 문화어를 폐지하여, 가능한 다양한 한국어 방언들이 언중들 사이에서 유통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ctors that accelerate language heterogeneity in North and South Korea are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policy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s, and it is necessary to abolish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because it can make communication difficult.
    Historically, the notion of standard language began in England in the 15th century, and France was influenced in England, which again influenced Germany. During the period from the 15th to the 19th century,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which was intended to strengthen the kingship in Europe and to increase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influenced imperial Japan through Germany and this led to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day, It became a nation that enacted a strong standard language policy.
    Comparing the languages of the two Korea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pell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erms of lexicon. It seems to be the result that North Korea has strongly promoted the use of cultivated standard language, and South Korea has also adopted strong standard language policy. The fact that the two Koreas have the standard language of each codified standard language can be a source of conflict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Communication is the most basic function of language. Historically, the standardization of language has helped communication until 19th century.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ensuring language diversity, activating creative function of language and securing the right of language equality’ has been strengthened in modern times, as a result, standard language is rather a factor preventing communication abundance. For that reason I suggest abolishing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If we abolish the codified standard language, we will use the most, the standard in broadcasting and media, and the way to educate students based on the languages included in the dictionary, and many other benefits, is a reasonable way. In this paper, instead of the concept of ‘alternative’ as the standard language,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 of ‘Unified Common Korean’, which is a common language used by all Kore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