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의 외국어문화교육 : 대학 외국어 전공과정의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Étude sur l’enseignement de la langue/culture étrangère en France : à partir des curriculums d’enseignement supérieur de langue étrangèr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0.11
27P 미리보기
프랑스의 외국어문화교육 : 대학 외국어 전공과정의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프랑스학논집 / 72권 / 123 ~ 149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초록

    21세기 글로벌 시대를 사는 오늘날 국경과 민족을 초월한 만남과 교류의 필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타인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의 개발 역시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예로부터 인간은 ‘언어’라고 하는 복합적인 의미․기호체계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해왔다. 사실 언어만큼이나 개개인의 다양한 의도에 부합하여 그의 사고, 감정, 경험, 지식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는 아직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자신과는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의사소통의 장’을 열고 ‘문화교류의 기회’를 갖는데 외국어학습은 매우 유효한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오늘날 외국어교육은 학습자가 목표언어의 형태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언어적 측면) 그 언어가 생성되고 성장한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며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의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된 문화적 요소들을 익힘으로써(문화적 측면), 다양한 상황에서 그들과 원활하게 교류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도록 유도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있다. 예를 들면, 상호간의 이해를 토대로 타인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의 습득을 목표로 하는 프랑스어 교육은 프랑스인들의 사고, 가치, 생활방식, 세계관, 관습과 제도 등을 이해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프랑스 문화의 학습은 이를 통해 프랑스인들이 실제 그들의 삶 속에서 어떻게 언어를 구현하고 작동시키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적절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접근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 비추어볼 때, 우리나라 대학의 프랑스어 전공과정에서 실시되고 있는 문화교육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 학부제 실시 이후 급격히 축소된 프랑스어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커리큘럼 을 재편성하고 새로운 교수방법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도입된 문화교육은 오늘날 프랑스어 전공교육과정의 핵심 분야로 자리 잡았으나, 많은 대학에서 언어강의를 상당수 줄이고 ‘한국어로 진행되는’ 지역학적 성격의 지식이나 특정학문분야의 지식 혹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실용적인 정보를 다루는 문화수업에 큰 비중을 두면서,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프랑스어 교육을 두드러지게 위축시키고 있다.
    • 그리고 실제로 문화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많은 교수자들이 ‘문화교육을 언어교 육과 어떻게 연계시킬 것인지, 어떠한 교육목표를 가지고 수업내용을 구성하고 그 결과를 평가할 것인지 등의 근본적인 문제들에 있어서 명확한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있다.
    •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언어학습은 배제한 채 여러 분야의 문화를 망라하여 가 르치는 ‘문화학(culturologie)?’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교수자들이 늘고 있다. 물론, 다양한 각도에서 프랑스 문화를 접근하는 학문을 세우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프랑스어 전공 커리큘럼에 굳이 프랑스어 학습과는 별개의 영역으로 문화학이 존재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분명히 규명하고, 만일 이러한 유형의 문화교육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에 적합한 틀을 마련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필자는 프랑스 대학의 외국어전공 학부과정 (Licence) 커리큘럼에서는 문화교육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여기서 조사 대상으로 삼은 프랑스 대학의 외국어전공은 아래와 같이 두 가지 경우이다.


    • 프랑스어와 매우 유사하고 프랑스인들 사이에서 널리 학습되고 있는 제 2 외국 어인 스페인어 전공과정 - 파리 3대학(Université Paris Ⅲ - Sorbonne Nouvelle)• 프랑스어와는 상당히 다른 언어로 프랑스 사회에서 비주류 제 2 외국어로 여겨 지는 한국어 전공과정 - INALCO(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프랑스 대학의 외국어전공교육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는 문 화교육은 어떤 목표에 따라 어떤 유형의 문화강의들을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지난 10여 년 동안 특히 양적인 차원에서 발전을 이룬 우리나라 대학의 프랑스 문화교육이 보다 질적으로 성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영어초록

    Cette étude s'interroge sur les perspectives didactiques des études culturelles et les organisations de celles-ci dans le cursus d’enseignement d’une langue étrangère au sein des établissements supérieurs en France.
    Pour objet de la présente étude, nous nous focalisons sur deux curriculums de Licence de Langue, Littérature et Civilisation Étrangères:

    •Licence LLCE Spécialité Espagnol de l’Université Paris III – Sorbonne Nouvelle •Licence LLCE Spécialité Coréen de l’INALCO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Les résultats d’enquête montrent que, malgré quelques différences observées selon les établissements :•les perspectives didactiques principalement adopées dans l’enseignement de la culture étrangère consistent en l’appropriation de la langue considérée à travers une appproche culturelle diversifiée. Ceci est vrai aussi bien pour les études littéraires que pour celles touchant aux domaines sociaux, artistiques, etc. ou celles liées aspects pratiques de la vie quotidienne ;•l’ensemble des eneignements culturels s’effectue dans un cadre efficace et cohérent : les objectifs sont clairement définis donnant un sens aux diverses pratiques pédagogiques, les contenus sont sélectionnés en rapport avec ces objectifs et la progression du cursus est structurée d'une manière hiéarchique.


    Faisant suite à la description et à l'analyse des curriculums d'enseignement des cultures étrangères dans les universités françaises, sont envisagées également des pistes de réflexion pour remédier aux difficultés de coordination de l'enseignement de la culture dans les sections françaises des universités coréennes avec celui de la langue, ainsi qu'à celles de constitution des démarches d’enseignement appropriées à la transmission des savoirs et des savoir-faire culturels.
    En menant cette étude, nous souhaitons susciter un intérê̂t pour d'autres recherches portant sur les problématiques d'une mise en place de l'enseignement supérieur de la culture française en Corée sous des angles différents allant des cadres programmatiques aux pratiques méthodogiq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프랑스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