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복합구성 친족어의 친족 관계 표지 요소에 대하여 (Regarding the Kinship Marker Elements constituting the Korean Kinship Term of the Complex Composi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22.03
33P 미리보기
한국어 복합구성 친족어의 친족 관계 표지 요소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79권 / 79호 / 69 ~ 101페이지
    · 저자명 : 오민석

    초록

    한국의 친족 관계는 출생, 혼인, 입양에 의해 형성되며, 친족의 범위는 법률적으로는 8촌 이내 인척을 아우른다. 친족어는 기초 어휘로서 해당 언어의 언어 문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친족어에 대한 관심은 이른 시기부터 확인할 수 있다. 한국어 친족어에 대한 논의 역시 어원, 언어 간 비교에서부터 친족어 사이의 의미 관계, 친족어 학습에 대한 논의까지 다양한데, 친족어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본고는 복합구성의 친족어를 구성하는 요소 중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요소의 형태의미적인 특징을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국어의 친족어에 대한 연구는 부계친과 모계친, 시계친과 처계친의 네 범주에서 ‘친’, ‘외’, ‘시’, ‘처’라는 각 범주의 대표 항목을 중심으로 ‘종’, ‘당’, ‘친정’, ‘사돈’, ‘새’, ‘이복’ 등의 관계 항목들을 함께 다루어 왔다. 이들 네 범주는 혈연 관계 여부로 혈족의 부계친, 모계친과 인척의 시계친, 처계친으로도 나눌 수 있는데, 본고는 여기에 비혈연 관계로서 입양에 의한 양계친의 범주를 설정하고 ‘양’, ‘수양’, ‘의붓’이라는 대표 항목을 설정했다. 이 외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요소로 서열 관계를 나타내는 ‘맏’, ‘막내’, ‘큰’, ‘작은’을 살펴보았고, 성별을 구별하는 요소로 각각 ‘부부’를 나타내는 ‘안’과 ‘밖’도 함께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Korean relatives are formed by birth, marriage, and adoption, and the scope of relatives legally encompasses relatives within third extended cousins. The kinship term is a basic vocabulary, and interest in kinship has continued in that it shows the language culture of the language society. Discussions on Korean kinship also vary from etymology of kinship term, comparison between languages. semantic relations between kinship to learning the kinship, but discussions on the elements of kinship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at it examines the morpho-semantic characteristics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kinship term of the complex composition. The study of Korean kinship was conducted together with discussions on items such as jong(종), dang(당), chinjeong(친정), sadon(사돈), sae(새), and ibok(이복), focusing on representative items such as chin(친), oi(외), si(시), and cheo(처) in four categories: kin type related to family, with Father, Mother, Husband, and Wife. These four categories can be divided into whether they are related to blood-consanguineal kinship, or notto blood -affinal kinship. In addition to these, this paper established the category of Adoptive family as a non-blood ties and set representative items such as yang(양), suyang(수양), and euibut(의붓). And then mat(맏), maknae(막내), keun(큰) and jakeun(작은) which represent the hierarchical in kinship, and an(안) and bak(밖) that distinguish gender were exam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