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휘화용론 관점의 다의성 - 독일어 음악연관 다의어 고찰 (Eine semantische Analyse deutscher musikrelevanter Polysemie aus der Perspektive der lexikalischen Pragmatik)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8.12
24P 미리보기
어휘화용론 관점의 다의성 - 독일어 음악연관 다의어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독일어문화권연구 / 27호 / 87 ~ 110페이지
    · 저자명 : 송석희

    초록

    본 논문은 독일어 음악연관 다의어를 어휘화용론 관점에서 다룬다. 여기서 독일어 음악연관 다의어 ‘deutsche musikrelevante Polysemie, Musikpolysemie MP’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서양 전통예술 음악인 클래식에 관련된 어휘들 로서 전체 구조, 조직, 기관의 의미를 지닌 독일어 다의어를 말한다. 예를 들어 “Chor, Ensemble, Konzert, Oper, Orchester, Philharmonie, Philharmoniker, Sinfonie”를 들 수 있다. 이 다의어들이 지닌 여러 가지 어휘적 의미는 대표 적인 온라인 독일어 사전인 DWDS와 Duden에서 가져 오며, 이들 간의 다의 성, 즉 다의적 관계를 어휘 화용론, 일명 어휘함축의 시각으로 분석하게 된다.
    이때 어휘함축이란 Levinson(1983)의 관습/고정함축 ‘Konventionelle Implikaturen’, 이를테면 어휘의미는 사전에 함축되고 여기에서 추론되어 나올 수 있다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어휘함축의 시점에 따라 앞서 예로 든 음악다의어의 사전적 어휘의미에서 실제 사용의미들을 추론하고 이들 간의 공통 단위 ‘COMMON SEMANTEME’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 공통 단위의 출현과 그빈도에 근거하여 한 어휘가 지닌 다의들 간의 다의성 내지는 친족성, 친밀성 정도를 정하게 된다.
    한편 위 음악다의어들 간에 사용의미부류를 조사하게 된다: “Institution/ Organisation, Gebäude, Prozess, Werk, Person, Situation, etc.”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 의미부류들의 의미표지 모형으로 “MP(p, x) ∧ AKTUALISIEREN(p, x) ∧ x={Institution/Organisation, Gebäude, Prozess, Werk, Person, Situation, etc.} ∧ COMMON SEMANTEME(p)”을 제안한다. 이 모형에 따라서 예를 들어 음악다의어 “Konzert”의 세 가지 사용의미 “Werk, Prozess, Situation”가 각각 “KONZERT(k, x) ∧ AKTUALISIEREN(x) ∧ WERK(x) ∧ MEHRERE(k)” 와 “KONZERT(k, x) ∧ AKTUALISIEREN(x) ∧ PROZESS(x) ∧ MEHRERE(k)” 그리고 “KONZERT(k, x) ∧ AKTUALISIEREN(x) ∧ SITUATION(x) ∧ MEHRERE(k)”로 표지된다. 또 하나의 예로서 음악다의어 “Sinfonie”의 두 가지 사용의미 “Werk, Situation”는 “SINFONIE(s, x) ∧ AKTUALISIEREN(x) ∧ WERK(x) ∧ GANZ&ZUSAMMEN(s)”과 “SINFONIE(s, x) ∧ AKTUALISIEREN(x) ∧ SITUATION(x) ∧ GANZ&ZUSAMMEN(s)”으로유도된다. 이러한 의미기술에서 한 다의어의 여러 의미들 상호 간에 맺는 다의성 관계가 공통 단위인 말하자면 “COMMON SEMANTEME”로 파악됨이 드러난다.

    영어초록

    Dieser Artikel analysiert die deutsche musikrelevante Polysemie aus der Perspektive der lexikalischen Pragmatik. In der Arbeit wird die deutsche musikrelevante Polysemie (Musikpolysemie, MP) folgendermaßen definiert: deutsche mehrdeutige Wörter, die klassische Musik betreffen und die gesamte Konstruktion, Organisation bzw. Institution beschreiben. Zum Beispiel sind das “Chor, Ensemble, Konzert, Oper, Orchester, Philharmonie, Philharmoniker, Sinfonie”. Für die lexikalische Bedeutung wird auf die Internet-Wörterbücher DWDS und Duden hingewiesen und die polysemen Beziehungen werden unter dem Gesichtspunkt der lexikalischen Pragmatik, die sogenannten lexikalischen Implikaturen, untersucht. Die lexikalischen Implikaturen hier stammen aus den konventionellen Implikaturen von Levinson(1983), d.h. die Gebrauchssinne, die lexikalische Bedeutungen im Lexikon implizieren und daraus geschlussfolgert werden können. Aus Sicht dieser lexikalischen Implikaturen werden die Gebrauchssinne aus den lexikalischen Bedeutungen der als Beispiele gegebenen Polysemie erschlossen und die gemeinsamen Einheiten extrahiert. Und gemäβ dem Vorkommen der gemeinsamen Einheiten und ihrer Frequenz bestimmt man den polysemen Verwandtschaftsgrad bzw. Polysemie-Grad zwischen den Mehrfachbedeutungen der involvierten Polysemie.
    Weitergehend werden die Klassen der Gebrauchssinne von den Bespielen der Musikpolysemie untersucht: “Institution/Organisation, Gebäude, Prozess, Werk, Person, Situation, etc.” Für diese Klassen wird das semantische Repräsentations-Muster wie folgt vorgeschlagen: “MP(p, x) ∧ AKTUALISIEREN(p, x) ∧ x={Institution/Organisation, Gebäude, Prozess, Werk, Person, Situation, etc.} ∧ COMMON SEMANTEME(p)”. Nach dem Muster, zum Beispiel, werden die drei Gebrauchssinne “Werk, Prozess, Situation” der Polysemie “Konzert” jeweils mit “KONZERT(k, x) ∧ AKTUALISIEREN(x) ∧ WERK(x) ∧ MEHRERE(k)”, “KONZERT(k, x) ∧ AKTUALISIEREN(x) ∧ PROZESS(x) ∧ MEHRERE(k)” und “KONZERT(k, x) ∧ AKTUALISIEREN(x) ∧ SITUATION(x) ∧ MEHRERE(k)” repräsentiert und die zwei Gebrauchssinne “Werk, Situation” der Polysemie “Sinfonie” jeweils mit “SINFONIE(s, x) ∧ AKTUALISIEREN(x) ∧ WERK(x) ∧ GANZ&ZUSAMMEN(s)” und “SINFONIE(s, x) ∧ AKTUALISIEREN(x) ∧ SITUATION(x) ∧ GANZ&ZUSAMMEN(s)” abgebildet. In dieser Darstellung kann man festellen, dass das Verwandtschaftsverhältnis zu den mehreren Bedeutungen der Polysemie durch die gemeinsamen Einheiten, nämlich COMMON SEMANTEME erfasst wi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어문화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