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승려 지칭어 관련 현대 중국어 분석 (An Analysis of Modern Chinese Language Used to Refer to Monk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8.12
24P 미리보기
승려 지칭어 관련 현대 중국어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61호 / 125 ~ 148페이지
    · 저자명 : 이명아

    초록

    본고는 승려 지칭어와 관련된 코퍼스 자료, 인터넷 게시물 등의 현대 중국어 분석을 통하여 다음의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 현대 중국인들의 언어생활 중 승려 지칭어와 주로 결합하는 형용사는 나이, 외모 등의 외적인 부분과 인품 등의 내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단어가 쓰이며, 또한 재산 등의 경제적인 방면과 경험, 지위 등의 업무와 관련된 단어가 쓰인다. 이는 승려 지칭어와 관련되어 중국인들의 관심 분야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사람의 성질, 상태 등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승려 지칭어의 속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품사로 승려 지칭어와 관련된 중국인들의 평가, 인식 등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남녀 승려 지칭어 중에는 이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일부 나타난다. 예로, 접두사 ‘老’는 남성 지칭어 ‘和尚’과 결합 빈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小’는 여성 지칭어 ‘尼姑’와 결합 빈도가 가장 높아 성별에 따른 의미적 비대칭성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남녀 승려 지칭어의 인터넷 게시물 중 일부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 남성에 비해 여성 승려 지칭어의 생활 분야와 관련된 네티즌들의 관심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승려 지칭어와 관련된 인터넷 게시물은 언어, 영상, 문학, 사회, 문화, 경제 분야 등의 내용이 주로 나타나며 이중 언어 분야가 대체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승려 지칭어 중 특히 ‘比丘, 比丘尼, 沙弥, 沙弥尼’ 관련 언어 분야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단어는 산스크리트어의 음역어로 ‘和尚, 尼姑’에 비하여 일반 대중들에게 생소하기 때문일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특정 분야에 따라 주로 사용되는 승려 지칭어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며 예로, 게임, 쇼핑몰, 불교 지식 등과 관련된 게시물 중 주로 쓰이는 승려 지칭어의 차이를 볼 수 있으며 이는 언어 환경에 따른 중국인의 단어 선택 경향을 반영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erms and phrases in modern Chinese that are used to refer to monks. The language analyzed was sampled from corpus data and internet posts. In the daily language of modern Chinese people, adjectives that are frequently employed to modify terms referencing monks describe external factors such as age or appearance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personality. Additionally, words related to wealth, experience, and status are heavily used. This linguistic frequency distribution reflects the varied interests of Chinese people in many aspects of monks’ lives and individuality. Adjectives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and status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the terms used to reference monks. Studying these linguistic patterns allows us to examine Chinese people’s evaluation and perception of monks.
    Differences in the terms referencing male and female monks may demonstrate differences in perception based on gender. For instance, the prefix “lao” is most frequently combined with the term referencing male monks “heshang,” whereas “xiao” is most frequently combined with the term referencing female monks “nigu.” The semantic asymmetry occurs within the parameters of gender differentiation and may represent gender-bas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onks. Some gender-based language differentiation was observed in internet posts discussing male and female monks. Internet users’ interest is relatively higher in the daily lives of female monks than in those of male monks.
    Internet posts containing terms referencing monks are mainly related to language, video, literature, society, culture, and economy. Of these, language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component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language areas related to terms referencing monks including “biqiu, biqiuni, shami, and shamini” was quite high. These are transliterations of Sanskrit; the high frequency of their use may be a result of these terms being more foreign to the public than the terms “heshang and nigu.” The distribution of frequently used terms referencing monks is different in each area. For example, different terms are used in posts discussing games, shopping malls, and Buddhist knowledge. These differences show that Chinese speakers’ speaking habits reflect their tendencies to choose words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