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음성 환경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분석 (An acoustic analysis on Japanese plosive consonant according to the phonetic environments -From the plosive consonant of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6.05
18P 미리보기
음성 환경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48권 / 325 ~ 342페이지
    · 저자명 : 김윤영, 최영숙

    초록

    본 논문은 조음 위치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의 특징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일본어는 고저악센트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동경방언화자가 발화한 평판형 악센트 4박어의 어두 및 어중에 나타나는 유성파열음([ba], [da], [ɡa])과 무성파열음([pa], [ta], [ka])의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어중 파열음의 경우 음성 환경에 따른 파열음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모음, 중자음의 전반부, 발음(ん) 뒤에 유성파열음과 무성파열음이 오는 실험어로 선정하였다. 분석 항목은 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기본주파수, 성대 진동 개시시간, 폐쇄지속시간 및 강도이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후행 모음 시작점의 기본주파수은 무성파열음의 경우 어두의 파열음이 어중파열음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유성파열음의 경우에서는 발음(ん) 뒤에 오는 파열음의 후속 모음의 기본주파수가 어두 파열음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대 진동 개시시간의 경우에는 유성 파열음은 조음점과 상관없이 조음기관이 개방되기 전부터 성대 진동이 시작되어 마이너스의 성대 진동 개시시간 값을 보였다. 특히 어중의 경우, 모음 뒤의 환경에서 성대 진동이 먼저 시작됨을 알 수 있었다.
    폐쇄지속시간의 경우, 무성 파열음이 유성 파열음보다 긴 폐쇄 지속시간을 보이며, 무성 파열음이 유성 파열음에 비해 파열을 시작할 때 더 많은 압력이 축적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중에 오는 파열음의 경우 중자음의 전반부 뒤의 환경에서 압력을 축적시키기 위한 시간이 다른 환경의 파열음에 비해 많이 소요되었다.
    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강도를 측정한 결과, 어두보다 어중에서 세기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어중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강도는 선행 음성 환경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유의미한 단어 속에서 조음 위치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의 특징을 고찰한 결과, 기본주파수와 성대 진동 개시시간은 어두파열음이 어중파열음에서 보다 높고 길게 나타났으며, 조음위치에 관계없이 무성음이 유성음보다 유의하게 높거나 길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문장 및 대화체 속에서의 파열음의 음향적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과제로 남겨둔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acoustic and phonetic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losive consonant according to place of articulation. Japanese is a pitch accent language. This paper analyze acoustic and phonetic effect of the voiced plosive consonants ([ba], [da], [ga]) and the unvoiced plosive consonants ([pa], [ta], [ka]) occurred in the first or second syllable of the unaccented 4-mora word spoken by Tokyo dialectal speecher. We especially investigate the voiced and unvoiced plosive consonants under the three conditions which are after a vowel, after a double consonant, and after a nasal occurrence in the second syllable through acoustical point of view. For the plosive consonant, we estimate the voiced onset time, the duration time of close, and the pitch and intensity within the follow-up vowel.
    This paper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average pitch of unvoiced plosive consonant from start point of follow-up vowel has usually higher value in the first syllable than in the second one. Second, voiced onset time under the voiced plosive consonant is measured as minus voiced onset time while vibrating vocal cord before opening of articulator without the relation of articulation point. In the second syllable, specifically, it has rapidly start under condition of the proceeding vowel. Third, the duration time of close under the unvoiced plosive consonant is longer than voiced one to give air pressure. Also in the experiments, we confirm that the plosive consonant in the second syllable after double consonant shows the longest duration time of close. Last, the result of intensity of the follow-up vowel for the plosive consonant shows that the second syllable has higher value than the first one. And then the intensity of the follow-up vowel on the second syllable of the plosive consonant is not influenced by the proceeding phonetic environments.
    From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losive consonant according to place of articulation in the meaningful words, the pitch and the voiced onset time of the plosive consonant in the first syllable had a higher and longer value than in the second one. We also known that the unvoiced consonant had higher and longer value than voiced one without relation to articulation point. For the next subject, we will investigate the acoustic effects of the plosive consonant within the conversational speech and sen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