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시력자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용 음성 안내의 UX 디자인 가이드라인 - 적정 음량 차이 및 정보의 양을 중심으로 (UX Guidelines for Designing Audio Guidance of Multimedia Contents for Low-Vision - With a Focus on Sound Level Difference and Amount of Auditory Informatio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7.02
13P 미리보기
저시력자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용 음성 안내의 UX 디자인 가이드라인 - 적정 음량 차이 및 정보의 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0권 / 1호 / 131 ~ 143페이지
    · 저자명 : 김유진, 안승준, 이태일

    초록

    연구배경 최근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로 인하여 저시력자의 멀티미디어 감상 또한 보편화 되어 있다. 이들에게는 콘텐츠 시청을 도와주는 음성 안내(TTS;Text to Speech) 기능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상황에서는 동시 제공하는 음성 안내 소리 크기 값과 적정 안내 음성의 길이에 대한 기준이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감상 시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음성 안내의 적정 음량 차이를 측정하고, 음성 안내의 적정한 정보의 양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개요 실험 진행에 앞서, 각 정보의 특성과 형태에 따라 제공해야 하는 음성 안내의 크기 또한 다르며, 저시력자와 비시각장애인이 습득하는 정보의 양은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실험은 크게 두 가지로, 1) 콘텐츠 형태(음성 – 5자리 숫자 / 비음성 – 신호알림음)에 따라 제공하는 안내 음성의 최적의 상대음량 크기를 측정하였고, 2) 들려주는 정보 길이에 따라 인지율이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1) 음성 안내는 콘텐츠(형태 무관) 대비 +45dB 이상으로 제공했을 때 80%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고, 비음성 안내는 음성 콘텐츠 대비 +15dB 이상, 비음성 콘텐츠에서는 동일하게 제공해도 인지율이 높았다.
    2) 정보 길이에 따른 인지율은 청크3~8로 제공했을 때 80% 이상이었으나, 대부분 청크6 이하로 제공하기를 선호하였다. 이는 대학생/ 비대학생으로 나누어 분석한 것과 연관되는데, 청크5 까지는 인지율이 비슷하나 청크6 이상부터 두 그룹간 차이가 발생하였다.
    결론 최종적으로 음성 안내를 제공할 때, 음성/비음성 콘텐츠에 따라서 저시력자가 인지하는 음성 안내의 데시벨(Decibel, dB)크기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콘텐츠 형태에 따라서 다른 크기로 음성안내를 제공해야 하며, 적정 정보의 양인 청크5 이하로 제공을 준수해야 한다는 UX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영어초록

    Background Because of the recent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it is common for people with low-vision to enjoy multimedia contents on an everyday basis. Although auditory guidance is an essential function in those situations, it is not carefully considered in designing the UX of it for better accessibility. The study especially focuses on finding out how many differences are required in sound levels and what amount of information is possibly acceptable for people with lowvision when enjoying multimedia contents.
    Methods The study conducted user tests providing 4 sets of multimedia contents(verbal/non-verbal) and auditory guides (verbal/non-verbal) for one, and a maximum of 9 chunks of words for the other. 30 people with low-vision aged 18~50 were tested and interviewed afterwards.
    Results 1) Voice guidance showed that more than 80% accuracy was provided in contrast to +45dB(unrelated contents type), and the recognition of non-verbal content was +15dB or more with verbal contents, while non-verbal contents were highly recognized in the equal volume. 2) When provided from 3 to 8 chunks, the accuracy was more than 80%. In case be to provide 3 to 8 chunks, but users preferred to provide less than 6 chunks. This is related to the analysis of two groups(students/normal), which is similar until 5 chunks, but the difference occurs at 6 chunk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level differences (verbal contents: 45dB(verbal)-15dB(non-verbal)/nonverbal contents: 45dB(verbal)-0dB(non-verbal)) are required, and that more than 5 chunks are optimal, among other findings. The study also summarizes the findings and converts them into UX design guidelines for designing audio guidance for people with low-vi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