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화파 지식인 金允植의 『沔陽行遣日記』 연구 (Study of the Myeon-yang-haeng-gyeon diary of the reformist scholar Kim Yun-sik)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2.09
27P 미리보기
개화파 지식인 金允植의 『沔陽行遣日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113권 / 269 ~ 295페이지
    · 저자명 : 연민희

    초록

    조선말기의 문장가인 雲養 金允植(1835~1922)은 당시 문단을 대표하는 문인으로서의 위상을 지니고 있다. 그의 문장은 한문문장의 하위장르에 속하는 거의 모든 문체를 아우르고 있는데, 특히 그의 일기인 『陰晴史』는 여러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자료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면양행견일기』도 이 일기의 일부분이다.
    『면양행견일기』는 『속음청사』 중 1887년 5월 29일부터 1894년 6월 26일까지 면천(沔川)에서 7년간 유배 중일 때의 기록이다. 김윤식은 면천에서의 유배기간 동안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 사건 사고, 그 지역의 풍속, 자신의 하루 일과 등을 진솔하게 기록하여 『면양행견일기』를 완성하였다.
    김윤식은 비록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면천의 영탑사로 유배형을 당했지만, 유배지 면천에서의 생활은 면천군수를 비롯한 지인들의 경제적 도움과 위문으로 비교적 여유롭게 생활하며 다양한 저술활동을 하였다. 김윤식이 다시 일기를 쓰기 시작하면서 여러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가 일어났다. 그는 일기를 기록하는 일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저술활동과 긴밀히 연결하였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관점에서 보면, 면천지역의 명승지와 풍속, 주요 사건들이 소개·기록되어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일기는 김윤식이라는 문장가가 쓴 일정 시기의 일상 기록이라는 차원을 넘어서 면천을 중심으로 하는 충청 지역의 생생한 역사와 당시 지역민들의 진솔한 삶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자료로서의 가치와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면양행견일기』는 문학일기로 한 개인의 문학세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근대 한문학 동향을 알 수 있었고 면천 배경의 타 작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비교문학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의 사건과 문화에 대한 기록으로 지역 연구에 대한 기록으로서의 의미가 크다 하겠다. 그는 지역의 사건, 풍속, 특색을 기술함으로써 민속학 자료로서의 특성을 아울러 겸비하였음을 구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식인으로서의 활동을 통해 지역의 문화를 발전시키고 지역 인재를 양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면양행견일기』는 문학일기이며, 지역문화에 대한 기록으로 근대 우리나라 한문학은 물론, 근대 개화기의 특성, 지역연구와 민속학의 자료로 조선말의 역사를 조명해 주는 귀중한 가치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Wunyang Kim Yun-sik (1835-1922), who is a writer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is a literary man that represents the literary world at the time. With his writing encompassing most of the writing styles of the sub-genres of traditional writing, his diary, Eum-cheong-sa, is a material that deserves attention in various aspects. The Myeon-yang-haeng-gyeon diary, which is the focus of this study, is a subsection of Eum-cheong-sa.
    Kim Yun-sik recorded his daily life for 60 years and named it Eum-cheong-sa. Of this diary, the records from September, 1881 to August. 1883 is called ‘Eum-cheong-sa’, from 1887 to 1921 ‘Sok-eum-cheong-sa’, and from 1833 to 1887 ‘Chu-bo-eum-cheong-sa.’ Within Sok-eum-cheong-sa is the Myeon-yang-haeng-gyeon diary, which comprises of the records during his exile in Myeoncheon from May 29, 1887 to June 26, 1894. Kim Yun-sik kept truthful records of the events, accidents, culture, and his daily life during the exile in Myeoncheon to complete the Myeon-yang-haeng-gyeon diary.
    Through this study of the Myeon-yang-haeng-gyeon diary, we deriv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ly, the Myeon-yang-haeng-gyeon diary not only provides information regarding a person’s literary world but also the literary trend of modern Korea. It also serves as a valuable reference that can be used in comparison with other pieces which have Myeoncheon as their background.
    Secondly, it is a record of regional events and culture and is of great value for regional studies. Kim Yun-sik describes the region’s events,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the Myeon-yang-haeng-gyeon diary, allowing it to act as a folklore reference as well.
    Thirdly, the Myeon-yang-haeng-gyeon diary confirms that Kim Yun-sik had a significant role as a scholar in improving the region’s culture and talents.
    In conclusion, the Myeon-yang-haeng-gyeon diary is a literary diary and a record of regional culture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dern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nd various regional studies and folklore. Thus, it is a valuable material that highlights the dynamic history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