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출토자료에 보이는 중국 고대의 數量詞와 量制 (The Ancient Chinese Numeral and Classifier Words and Volumetric Measuring Systems Shown by Unearthed Document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0.06
40P 미리보기
출토자료에 보이는 중국 고대의 數量詞와 量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24호 / 157 ~ 196페이지
    · 저자명 : 熊長雲, 오정은

    초록

    近世이래, 簡牘·靑銅器·碑刻 등 출토 자료가 다량으로 발견되면서, 이러한 자료들은 中國古代의 數量詞 및 量制의 발전과 변화과정을 연구하는데 새롭고 믿을 만한 1차 자료로 활용되었다. 數詞에 대해, 中國은 일찍부터 비교적 完整한 基數體系를 구비하고 있었으며 상용되던 數詞는 “一·二·三·四(亖)·五·六·七·八·九·十”과 “百·千·萬” 등이 있다. 이러한 基本數詞가 출현한 이후, 수천 년 동안 변화없이 계승 사용되었고, 序數와 倍數, 그리고 分數 등이 존재해 여러 곳에 응용되었다. 출토자료에서도 量詞가 많이 보이는데, 대체로 自然單位量詞와 借用單位量詞, 그리고 制度單位量詞의 세 종류로 나뉘며, 이를 또 세분화하여 여러 소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古代量詞體系의 성숙과 발달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 量制는 度量衡制度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中國古代量制의 발전을 중심으로 시대를 나누면, 先秦·秦·漢·三國 이후로 크게 네 가지 시기로 나눠볼 수 있다. 春秋戰國時期는 量制의 성립과 정비의 시기로서, 출토자료를 통해 齊國·楚國·三晉의 韓趙魏·燕國·東周·秦國에서 운용했던 量制의 구체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政權의 分裂로 인해 각 국의 量制는 상이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지역성의 발현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각 국의 基本單位의 量値는 서로 유사하며, 각 국간의 진법체계 역시 비슷하게 변화해가는 양상을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秦 통일 이후, 秦制가 전국으로 시행되면서, 列國의 制度도 폐지되었다. 秦量制의 基本單位體系는 石-斗-升으로, 升과 斗 사이에 半과 參 등의 分數單位가 있었으며 量制의 小單位인 龠도 존재하였다. 이 시기에 石은 容量과 重量單位의 이중 속성을 가지고 있어 容量 石은 10斗이었고 重量 石의 환산되는 量値는 단일한 값이 아닌 여러 容量에 대응되는 값이 있었다. 이러한 量制單位體系는 戰國秦에서 시작되었고 秦代와 西漢시기에 계승 사용되었다. 漢代에 이르러 특히 王莽時期에 量制體系는 한 차례 개혁이 이뤄지는데, 標準容量單位이자 官方量器의 명칭이었던 石과 桶은 斛로 개칭되었고, 원래 官方量制에 존재하였던 分數單位의 半과 參은 모두 폐지되었으며, 秦과 西漢에서 장기간 사용되던 升龠進制는 升合制로 바뀌었다. 秦漢量制는 王莽시기에 이르러 비로서 斛-斗-升-合-龠의 “五量”單位體系를 형성하였다. 이중 앞 4개의 단위는 후에 근 2000년간 量制單位의 기본골격을 구성하며 사용되었다. 走馬樓吳簡은 東吳의 상황을 반영하였고, 漢代量制의 小單位體系 또한 이때 조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中國古代의 量制單位는 처음부터 엄격한 진법체계를 형성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대체적으로 초기의 量制單位는 地域性을 가졌으나 같은 지역의 量制 역시 서로 다른 변화 과정을 거치기도 하였다. 단위가 추가로 만들어지거나 도태되는 상황이 보이고 이에 따라 진법체계도 조정되었고, 量値 역시 변화를 겪었다. 秦漢시기에 이르러, 국가 주도의 量制體系의 기본적 정형화를 이루었고, 당시에 맞게 계속하여 개선되면서 최종적으로 王莽시기에 가장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에는 정권이 바뀌어도 量制單位體系는 여전히 계승되면서 안정세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衡量秩序의 내재적 안정성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후대에 있었던 量制의 變化는 그저 單位量値 표준을 바꾸는 것에 그쳤을 뿐이다.

    영어초록

    Since modern times, the discoveries of unearthed documents such as bamboo slips, bronzes, stone tablets and etc. have provided newly and reliably first-hand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ancient Chinese numeral and classifier words as well as the volumetric measuring systems. In the early period, China already had a relatively complete Cardinal system. The commonly used numbers such as one, two, three, four, five, six, seven, eight, nine, ten and hundred, thousand, ten thousand had appeared. Besides, there were different applications such as ordinal numbers, multiples, and fractions. The classifier words revealed in the unearthed documents were extremely rich. It could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natural unit classifier words, borrowed unit classifier words and institutional unit classifier words, and could be subdivided into different subcategories. It reflects the maturity of the ancient classifier words system. The volumetric measuring system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whole measurement system. The history of volumetric measuring system in ancient China could be roughly divided into four periods: pre-Qin, Qin, Han, and after the Three Kingdoms. The volumetric measuring system with unified standards could be traced back to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unearthed documents revealed the specific volumetric measuring systems used by Qi, Zhao, Chu, Sanjin(including Han, Zhao and Wei), Yan, Eastern Zhou and Qin. Due to the split of regimes, the systems of different countries had certain differences, reflecting a strong regionality. However, the value of their basic units was siminar, which also reflected the evolutionary trend of convergence. After Qin's unification, the volumetric measuring system of Qin bacame the mainstream of the unified country and the other countries’s systems had been abolished. The basic volumetric measuring system of Qin was Shi-Dou-Sheng(升-斗-石). Half Dou(半斗) and one third Dou(參) were also the official fractional units. In addition, there was small-scale volumetric measuring units such as Yue(龠). During this period, Shi(石) was the same name of both volumetric and weight units. When as the volumetric unit, Shi(石)was referred to ten Dou(斗), but as the weight unit, it could referred to multiple volumes according to different kind of grains. This volumetric measuring system establish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Qin, continued in the Qin Dynasty and the Western Han Dynasty. In the Han Dynasty, especially in the Wangmang period, the volumetric measuring system continued to evolve. Shi(石) and Tong(桶), the standard capacity units and official measuring vessel names, were both renamed to Hu(斛); the official fractional units such as half Dou(半斗) and one third Dou(參)were abolished; the Sheng-Yue(升龠) volumetric unit system became to the Sheng-Ge(升合) volumetric unit system. During Wangmang period, the Five-volumetric-unit(五量) system was finally consummate. The official volumetric unit system were Hu-Dou-Sheng-Ge-Yue(斛-斗-升-合-龠). In particular, the first four units had constituted the basic volumetric unit framework of ancient China in the next two thousand years. The bamboo slips unearthed from Zoumalou of Wu of the Three Kingdoms revealed that the volumetric unit system of small-scale units was still adjusted compared to the Han Dynasty. In conclusion, the volumetric measurement of ancient Chinese did not form a strict system from the beginning as the literature recorded. The early units were regional, and the volumetric unit system in the same area often had a process of evolution. In the Qin and Han Dynasties, the unified country established and improved the unified measurement system. The volumetric measuring system was finally consummate in the Wangmang period. After that, the volumetric unit system remained stable for quite a long time, reflecting an internal stability as a measure of order. Since then, the factors that led to changes in the volumetric measuring system transformed into unit quantity standa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