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기요양과 커뮤니티케어: 의료인 관점의 이해 (Long-Term and Community Care from a Physician’s Perspective)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4.03
9P 미리보기
장기요양과 커뮤니티케어: 의료인 관점의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가정의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 14권 / 1호 / 2 ~ 10페이지
    · 저자명 : 윤종률

    초록

    2025년이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또한 이미 4년 전부터 베이비부머 세대가 노인 인구로 진입하면서 향후 수년간 75세 이상 후기고령자 인구가 더욱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는 노인건강 관리에서 핵심 개념인 노쇠상태의 노인들이 빠르게 증가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노쇠노인의 증가는 결국 장기요양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의 증가를 유발한다. 우리나라에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가 도입되어 적용된 지 15년이 지났지만, 지역사회 내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력이나 시설, 제도 등의 자원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그 결과 원하지 않는 요양시설 입소와 요양병원 장기입원을 겪게 되는 노인들이 많아지면서, 건강노화의 목표인 ‘삶의 터전에서 지속적 거주(aging in place)’ 달성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정부에서도 2018년부터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커뮤니티 케어; community care)을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일차의료 의사들은 노인 보건의료에서 장기요양이나 커뮤니티케어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장기요양보험 도입 초기부터 보건의료와 요양돌봄이 분리되어 추진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의료인들의 관심과 참여가 부족했던 것이 더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이라도 노인건강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차의료 전문의사들이 장기요양과 지역사회 통합돌봄에 대한 바른 이해와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의사 참여 부분인 장기요양 재택의료, 통합돌봄과 장기요양 대상자를 위한 의사소견서 작성, 시설 입소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요양시설 계약의사 등에 대한 일차의료 의사들의 참여가 획기적으로 늘어나야 한다.

    영어초록

    South Korea will become a super-aged society by 2025, with >20% of its population being aged ≥65 years. In addition, since the baby boomer cohort transitioned into the elderly age-group 4 years ago, the number of people aged ≥75 years is expected to increase dramatically in the next few years.
    This means that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needing long-term care will increase as the number of frail elderly individuals increases. The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15 years ago. However, as resources for long-term care services in the community continued to remain insufficient, the number of patients institutionalized or admitted to geriatric hospitals increased making integrated community care more important. Consequently, a community-integrated care policy was implemented in 2018. However, primary care physicians in Korea are still largely unaware of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long-term and community-integrated care in geriatric healthcare. This is due to the separation of healthcare and social care from the time LTCI was introduced. To achieve healthy aging, primary healthcare professionals must recogniz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long-term integrated care. Now is the time to dramatically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primary care physicians in home-visit care. They must ensure proper completion of medical statement forms for long-term and integrated care and act as dedicated physicians for residents of nursing fac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0 오후